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지난 2021년, 우리 기업들의 여성 리더십 증대를 위해 국내외 정책 및 젠더 렌즈 투자의 최근 동향을 정리해 『젠더 동향 리포트』를 출간한 바 있습니다.
2022년 11월 출간한 개정 『젠더 동향 리포트: 기업 내 성평등 증진 및 성소수자 포용』에서는 성평등을 다룬 첫번째 파트에서 여성임원할당제를 중심으로 한 기업 내 성평등 정책 동향에 이어, 국내외 성평등 공시제도와 젠더 렌즈 투자 동향을 통해 국내외, 그리고 기업에서의 주된 흐름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러한 동향에 맞춰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글로벌 주요 가이드라인 및 이니셔티브를 소개합니다.
두번째 파트에서는 기업 내 성소수자 권리 보호를 위한 국내외 동향과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이어 WEPs Gender Gap Analysis Tool(WEPs 성 격차 분석 툴)을 통해 7개 원칙을 바탕으로 직장, 시장 및 지역사회에서 자발적으로 성평등과 여성 경쟁력 강화를 추구하는 기업들에 지침 및 이행방안을 제공하고, 기업의 성평등 및 여성역량강화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을 제공하고, LGBTIQ+ Standards Gap Analysis Tool(LGBTIQ+ 표준 격차 분석 툴)을 통해, 기업 내 성소수자 정책 및 제도를 평가하고, 개선 영역을 파악하여 성소수자 포용성 증진을 위한 목표를 유엔의 업무 수행 표준을 기준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 문의: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박희원 연구원 (070-4327-9767, ) ※ UNGC 한국협회 회원사는 로그인 후 ‘자료실-회원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우리 기업의 효과적인 인권경영 시스템의 내재화 및 인권 존중 문화 확산을 지원하고자 <기업과 인권 지침서: 실사(Due Diligence) 가이드라인>을 2019년 발간하였고, 2022년 11월 두 번째 개정판을 발간했습니다. 동 가이드라인은 UNGC 10대 원칙,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 및 OECD 실사 가이드라인 등을 바탕으로 인권경영에 대해 연구·조사하였으며, 기업 인권실사의 다섯 요소인 ▲인권 정책 선언 및 내재화 ▲인권영향평가 ▲인권경영 시스템 수립 및 이행 ▲모니터링 및 공시 ▲고충처리 메커니즘을 소개합니다. 본 지침은 기업과 인권에 관한 국내외 동향 및 주요 가이드라인, 실사단계별 실행 방안 및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글로벌 기업의 사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기업과 인권 주요 글로벌 가이드라인으로서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ILO 다국적기업과 사회정책에 관한 삼자선언,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을 다루며, 국가별 법ㆍ제도로 ▲미국 도드-프랭크법 제1502조(분쟁광물 실사 및 공개의무) ▲미국 캘리포니아 공급망 투명성 법률 ▲영국 현대판 노예방지법 ▲호주 현대판 노예방지법 ▲프랑스 실사의무법 ▲독일 공급망 실사법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법 등을 소개합니다. 또한 글로벌 기업과 인권 국가행동계획(NAP) 추진 현황, 기업과 인권에 관한 NAP 주요 수립 국가, 국가별 인권 리스크 순위,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와 기업 인권, 기업과 인권 우리 정부 추진 동향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인권 실사(Due Diligence)란 인권에 대한 기업 활동의 부정적인 영향 및 리스크를 파악하고, 이를 예방 및 완화하기 위한 일련의 관리 프로세스이며, 이는 기업이 모든 비즈니스 활동에 인권 존중을 위해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기업과 인권 실사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인권 정책 선언 및 내재화: 고위경영진의 지지, 인권 정책 개발
2) 인권영향평가: 사전조사, 평가 및 분석, 우선순위 이슈 선정 및 개선
3) 인권경영 시스템 수립 및 이행: 자원배분, 소통 및 교육, 제재 및 인센티브, 사업 파트너 및 공급망 관리, 정부 협력 및 공동노력
4) 성과 모니터링 공시: 성과 모니터링, 이해관계자 공시
5) 고충처리 메커니즘: 고충처리 메커니즘 수립, 고충처리 메커니즘 운영
기업은 인권 실사를 통해 ▲경영 및 운영 리스크 관리 강화 ▲인권에 대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완화 ▲공급망 관리 강화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개선 ▲인재 강화 및 우수 인재 확보 ▲잠재적인 대규모 구제 비용 절감 ▲인권 침해 발생 시 신속한 구제 ▲생산성 향상 및 장기 경쟁력 제고 ▲기업 이미지 및 평판 증대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사회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기업 및 공공기관 역시 인권 친화적인 조직 문화를 만들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어 나가는 것에 본 가이드라인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문의: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안일곤 과장 (070-4327-5057, ) ※ 해당 자료는 2024년 6월 개정되었으며, UNGC 한국협회 회원사는 로그인 후 ‘자료실-회원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 산업은 국가 경제활동의 기초가 되는 기간산업이자 사회 전체에 동력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산업은 다른 공업의 원가를 구성하면서도 국민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한 중요 산업으로, 반부패 노력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ECD 등에 따르면 에너지 산업은 부패에 가장 취약한 산업 중 하나로 종종 지적되고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반부패 프로젝트 Business Integrity Soceity (BIS)의 일환으로 <에너지 산업 반부패 리포트>를 발간하였습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에너지 산업 전반의 다양한 부패 리스크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외 법·제도를 알아봅니다. 또한 우리 기업의 반부패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반부패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며, 기후변화, 에너지 전환, 재생에너지 등 최신 아젠다를 둘러싼 반부패 담론을 소개함으로써 청렴한 기업문화 정착을 지원합니다.
에너지 산업의 부패 리스크를 인지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규범적 동향, 그리고 기업이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수록한 본 발간물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 문의: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이상현 과장 (02-749-2150, )
※ UNGC 한국협회 회원사는 로그인 후 ‘자료실-회원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지난 2020년 10월, 회원사를 대상으로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등 기업 지속가능성 관련 다양한 이슈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온라인 월간 매거진 Monthly Insights를 런칭하였습니다. 매월 첫째 주 수요일, 회원사를 대상으로 발송되는 Monthly Insights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룹니다:
UNGC 본부 및 한국협회 행사(포럼, 워크숍, 웨비나 등) 결과
국내/국외 CSR/ESG, 기업 지속가능성 관련 트렌드
본부 발간물/기사/보고서 (국문번역 및 요약)
이슈별 전문가/연구기관 인사이트 분석
UNGC 프로젝트 동향: 기업 청렴성 소사이어티(Business Integrity Society, BIS)/젠더이퀄리티코리아(Gender Equality Korea, GEK)
Monthly Insights Vol.1은 2020년 10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발간된 내용을 한 데 모은 발간물로,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인권, 노동
1) Leave No Woman Behind! 기업의 여성 리더십과 수익성의 상관관계 (2020.11)
2) 기업과 인권 이행지침 10주년, 지속가능한 미래의 열쇠는 인권 (2021.01)
3)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위한 인권노동의 방향성 (2021.05)
2. 환경
1) 재생에너지 원년 2021, 글로벌 트렌드와 인사이트 (2021.02)
2) 넷제로 미래를 향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여정 (2021.06)
3. 반부패
1) 팬데믹 시대, 기업 투명성 제고를 위한 국제기구들의 인사이트 (2021.03)
2) 기업 부패와 인권의 상호연결과 대응 전략 (2021.09)
4. ESG
1) 글로벌 ESG 투자 전문가들의 인사이트 (2020.10)
2) ESG 프리미엄, 가치와 성과에 대한 인사이트 (2021.04)
3) 기업 지속가능성을 위한 CFO의 역할 (2021.08)
5. UNGC 국내외 이벤트
1) 2020 Korea Leaders Summit (2020.12)
2) 2021 UNGC Leaders Summit (2021.07)
3) Uniting Business Live (2021.10)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등 기업 지속가능성 관련 다양한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가 담긴 본 발간물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매년 약 278만 명의 근로자가 산업 재해 및 업무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며, 3억 7,400만명의 근로자가 비치명적 산업 재해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이는 매일 7,500명에 달하는 근로자가 안전하지 않고 건강에 해로운 작업 환경에서 사망함을 의미합니다. 작업장 관련 사망자는 교통사고(999,000명), 전쟁(502,000명), 폭력(563,000명), HIV/AIDS(312,000명)로 인한 연평균 사망자의 수를 초과합니다.
위험한 근무 조건과 환경은 기업 지배 구조의 격차, 입법 프레임워크 부족, 지식과 자원의 부족, 지속 가능하지 않은 비즈니스 관행, 국가와 작업장 차원의 예방 문화 부족과 같은 근본적인 원인이 병존하여 형성됩니다. 정부와 기업은 OSH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할 각자의 역할이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와 국제노동기구(ILO)가 함께 집필한 본 보고서는 국가 안전과 보건 및 고용상해보호제도가 부족한 국가에서 사업 운영 시,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 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기업의 역할에 중점을 둡니다. 보고서에서는 건전한 OSH 관행, 효과적인 고용상해보험제도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식별하여 소개합니다. 즉, 업무 관련 상해를 입은 근로자의 소득을 보호하고, 의료비를 보장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메커니즘을 제안합니다.
또한 OSH 분야에서 개발된 풍부한 지식, 전문성, 기구, 도구를 모든 작업장과 근로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업이 구현할 아홉가지 관행을 식별하여 소개합니다:
관행 1: 기존의 산업 안전과 보건(OSH) 문제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공급망 매핑을 실시한다
관행 2: 조달 관행에 OSH 및 고용 보호를 포함한다
관행 3: 공급업체와의 긴밀한 협업을 비롯한 OSH 규정 준수 모니터링을 개선한다
관행 4: 수직, 수평적 지식과 역량 공유를 촉진한다
관행 5: 국가 법률 및 정책 프레임워크를 조정 및 보완하고, 개선을 이끄는 주체가 된
관행 6: 근로자의 참여 및 사회적 대화를 촉진한다
관행 7: 근로 관련 상해 및 질병의 보고, 기록, 신고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원하여 데이터 수집 과정을 개선한다
관행 8: 개발 파트너와 협력하여 역량 및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모범 사례 및 혁신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지식을 공유한다
관행 9: 국가 정책 개발을 지원하고, OSH 관행 및 고용 상해 보호에 관한 소싱 국가의 국가 기관 강화를 위해 국제 이니셔티브에 참여한다
본 보고서 <공급망을 통해 안전과 보건을 증진하고, 예방 및 보호의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아홉 가지 비즈니스 관행(Nine Business Pract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Health Through Supply Chains and Building a Culture of Prevention and Protection)>에서는 보다 자세한 예시, 기업 사례 등을 통해 관행의 실질적 실행 방안을 소개합니다. 이에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해당 자료를 국문으로 번역하여 발간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또한 유엔글로벌콤팩트 OSH 웹사이트를 통해 해당 내용을 더욱 자세히 확인해 보실 수 있으며, 공급망 내 양질의 일자리 액션 플랫폼에 대한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자료 문의: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김두일 연구원, 박희원 연구원
(02-749-2149,
기업은 기업 내 부패를 탐지하고 방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부패 리스크를 줄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식별하면 기업은 효과적인 반부패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반부패 프로젝트 Business Integrity Society(BIS)의 일환으로 영국투명성기구(TI-UK)의 “Make it Count” (2021)를 한국어로 번역 발간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기업의 반부패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제시합니다.
본 자료는 주요 다국적 기업, 학계 및 규제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반부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반부패 접근법의 4가지 핵심 영역인 최고 경영진의 지지, 리스크 평가, 제3자 관리 및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효과성 측정’을 통해 파악되는 내용을 분석하고, 실제적인 고려 사항들을 조명하며, 유용한 지표들을 제공하는 본 발간물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그 동안의 큰 진전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많은 여성들이 동등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제, 사회 및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잠재력은 여전히 미개척 상태로 남아있습니다.
여성 역량 강화는 경제 성장을 확대하고 사회 발전을 촉진하며, 보다 안정적이고 정의로운 사회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역시 여성의 역량 강화를 매우 핵심적인 발전 목표로 내세우고 있으며, 광범위한 세계적 도전 과제의 해결과 성평등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에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우리 기업들의 여성 리더십 증대를 위해, 국내외 정책 및 젠더 렌즈 투자의 최근 동향과 더불어 기업의 성평등 및 여성 역량 강화 현황을 자가진단할 수 있는 여성역량강화원칙(WEPs) 성 격차 분석 툴을 한데 모아 <젠더 동향 리포트>를 발간하였습니다.
국내외 정책 및 젠더 렌즈 투자의 최근 동향과 각 기업의 현황을 확인해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담은 본 발간물에 많은 관심 바라며, 여성 리더십 강화 및 여성 임원 비율 향상을 위한 글로벌 프로젝트 TGE(타깃젠더이퀄리티) 프로그램과 GEK(젠더이퀄리티코리아) 플랫폼에도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는 2019년 9월 제 74차 유엔 총회의 부대행사인 ‘지속가능한 해양산업을 위한 유엔글로벌콤팩트의 액션 플랫폼’을 통해 기업에 건강하고 생산적인 바다의 보전을 촉구하는 9가지의 ‘지속가능한 해양 원칙(Sustainable Ocean Principle)’을 발표했습니다.
이 원칙에 동의함으로써 기업은 오염을 예방하고, 해양 자원 사용 관리를 통해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며, 해양 관련 활동 및 영향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약속할 수 있습니다.
이에 ‘2030년까지 건강하고 생산적인 해양을 만들기 위한 5가지 티핑포인트’ 브로슈어는 해양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시적 목표로서 완전한 수산물 이력관리, 무배출 항해, 해양 전력 발전, 해양 맵핑, 해양 폐기물 유입 중단이라는 5가지 티핑포인트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Gender Equality Korea 여성역량강화 프로젝트 브로슈어는 유엔글로벌콤팩트가 진행하는 다양한 여성역량강화 및 성평등 관련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브로슈어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젠더 이퀄리티 코리아(Gender Equality Korea, GEK)
한국협회가 지난 4월 런칭하고 아모레퍼시픽과 여성신문이 파트너로 지원하는 젠더 이퀄리티 코리아(GEK)는 우리 기업 및 기관들이 국내외 기준에 맞는 성평등 정책을 수립하고, 여성대표성 향상과 여성역량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특히 산발적으로 공유되던 국내외 여성 이슈 관련 정보를 한 곳에서 국문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본 브로슈어는 젠더 이퀄리티 코리아 웹사이트 개요와 여성역량강화원칙(WEPs) 성 격차 분석 툴, 여성역량강화관련 국내외 동향 및 젠더 관점 투자 동향 등 GEK의 주요 콘텐츠 소개를 포함합니다.
2. 타깃 젠더 이퀄리티(Target Gender Equality, TGE)
유엔글로벌콤팩트의 지난 5월 여성 비즈니스 리더십 향상을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 ‘타깃 젠더 이퀄리티(TGE)’를 런칭했습니다. 브로슈어를 통해 TGE 참여 기업에 대한 정보와 프로그램 활동 및 타임라인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3. 여성역량강화원칙(WEPs) 성 격차 분석 툴(WEPs Tool)
유엔글로벌콤팩트와 유엔 여성기구(UN Women)이 세계 170여개 이상의 기업들과 협업하여 개발한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WEPs Tool은 여성역량강화에 대한 약점 및 기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FAQ
이외에도 본 브로슈어는 유엔글로벌콤팩트의 여성역량강화 프로젝트에 대한 FAQ를 통해 각 프로젝트 참여 방법, 혜택 등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