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KO

본부 발간자료

Promoting Anti-Corruption Collective Action through Global Compact Local Networks (2018)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본부가 새롭게 발간한 <Promoting Anti-Corruption Collective Action Through Global Compact Local Networks> 보고서는 바젤 거버넌스 연구소(Basel Institute on Governance)와 이집트 주니어 비즈니스 협회(Egyptian Junior Business Association), 그리고 UNGC 브라질, 일본, 케냐, 나이지리아 협회의 반부패 공동노력 사례를 담은 사례집입니다. 2009년부터 지멘스가 후원하고 있는 글로벌 반부패 프로젝트 ‘지멘스 청렴성 이니셔티브(Siemens Integrity Initiative)’는 공정한 시장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부패방지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본 사례집에는 △ 브라질 건설부문 내 부패척결을 위한 공동노력 사례 △ 일본 유엔책임투자원칙(PRI)-UNGC 일본협회의 반부패 민관협력 프로젝트 사례 △ 이집트 주니어 비즈니스 협회(EJB)의 중소기업 ESG 투명성 개선 사례 등 5개의 지멘스 청렴성 이니셔티브 사례와 사업 결과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원문보기

Global Compact Local Networks: Accelerating National SDG Implementation (2018)

2018년 UNGC 로컬 네트워크들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지원 노력을 담은 Global Compact Local Networks: Accelerating National SDG Implementation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보고서는 세계 각지의 UNGC 로컬 네트워크들이 지역 상황에 맞춰 SDGs 목표 간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어떻게 행동하고 협업하는지 보여줍니다. 총 5장으로 구성된 본 보고서는 지역 내 SDGs 달성을 위한 ‘인식 제고’, ‘역량 강화’, ‘리더십’, ‘정책대화’, 그리고 ‘다자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및 공동노력’를 주제로 35개 지역 네트워크의 활동 사례를 담고 있습니다.

1. 인식 제고: SDG 비즈니스 기회 인식 제고 

사례: 탄자니아(금융 분야 파트너십), 프랑스(중소기업 SDG 이행 촉진)

2. 역량 강화: SDGs의 내재화 및 주류화

사례: 브라질(기업 전략 내 SDG 내재화), 미국(기업 공급망 내 인권 보호), 독일(인권 실사 트레이닝을 위한 진단 툴 제공)

3. 리더십: 우수 기업사례 공유를 통한 동기부여 제공

사례: 중국(SDG China Summit), 네덜란드(Global Challenges, Dutch Solutions 발간)

4. 정책대화: SDG 국가행동계획정책 참여 

사례: 콜롬비아(SDG 국가행동계획 이행을 위한 파트너십), 호주(국가 SDGs 우선순위 이행 지원)

5. 다자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및 공동노력: 파트너십 및 공동노력 활성화

사례: 인도네시아(여성기업가 양성), 파나마(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통한 빈곤퇴치)

– 원문보기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6: Synthesis Report 2018 on Water and Sanitation (2018)

지속가능발전목표 6번 ‘물과 위생’ 2018 종합보고서(Sustainable Development Goal 6: Synthesis Report 2018 on Water and Sanitation)는 유엔 SDGs 6번 ‘물과 위생’ 관련 지표의 글로벌 이행 현황과 2030년까지 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도전과제, 관련 데이터 및 심층연구 결과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모두를 위한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의 접근성 확보 및 지속가능한 관리를 강조하는 SDG 목표6번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문제와 자연재해 위험 증가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유네스코(UNESCO)가 주도하는 유엔세계물평가프로그램(WWAP)의 지원 하에 UN-Water 태스크포스(TF)팀에서 제작발간하였으며, SDG목표 6번의 8개 세부목표의 진전사항과 함께 물 이슈와 경제사회환경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UNGC)는 13개 유엔 기구 및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기구 간 협의체 ‘UN-Water’의 태스크포스(TF)팀에 참여하여 세계 기업 수자원 이용 현황과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보고서에 기여했습니다.

– 원문보기

Business Partnerships for the Global Goals: Advance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2018)

<글로벌 목표를 위한 기업 파트너십: 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의 발전> 보고서는 중남미 및 카리브 지역 기업들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파트너십과 이행 현황을 점검합니다. 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은 세계평화와 평등, 기후안보 및 시장 안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유엔중남미카리브경제위원회(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ECLAC)는 중남미 지역의 경제사회 발전과 2030 의제 이행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엔중남미카리브경제위원회(ECLAC)가 발간한 ‘중남미카리브해 지역 SDGs 이행 연례 보고서’의 주요 조사 결과와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회원사들의 응답 데이터로 구성된 동 보고서는 ‘국가 통계 역량 강화’, ‘국가 발전 계획 및 예산 책정 시 글로벌 목표 반영’ 등 SDGs 실현을 위한 파트너십 방안과 지역 차원에서의 SDGs 이행 현황(이해관계자별,이슈별)을 분석했습니다.

– 원문보기

비즈니스: 이제, 행동해야 할 때(Business: It’s Time to Act) (2018)

현대 노예노동과 아동 노동이 지속되는 곳에서는 양질의 일자리가 존재할 수 없습니다. 강제 노동, 현대 노예제도 및 아동 노동은 빈곤, 거버넌스 실패, 글로벌 노동시장 내 불평등과 연계되어 있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정부, 기업, 시민단체, 노동 조합 및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ETI(Ethical Trading Initiative), 영국 국제개발부(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KDID),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Verité가 공동 개발한 <Business: It’s Time to Act>는 UNGC 행동 플랫폼 ‘글로벌 공급망 내 양질의 일자리(Decent Work in Global Supply Chains)’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동 가이드는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 자원, 이니셔티브 및 참여 기회를 강조하면서 현대 노예제도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는 프로세스를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 원문보기

Transforming Partnerships for the SDGs (2018)

CEO를 대상으로 하는 가장 큰 규모의 지속가능성 연구인 UN Global Compact-Accenture CEO 연구 보고서 특별판이 출간되었습니다. 특별판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파트너십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전세계 UNGC 회원사 CEO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에 이어, 이번 특별판은 유엔 리더들의 견해를 분석했습니다.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과 민간부문 간 협력 확대를 촉구한 바 있습니다. . 이러한 측면에서, 금년 조사는 ‘SDGs의 혁신적인 영향력 확대를 위한 파트너십 방안’에 대한 유엔 기관 대표 및 실무자들의 견해를 담고 있습니다. 유엔 기관 대표 및 실무자들은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중대한 도전과제의 해결과  민간 부문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위한 진전을 가속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연구 결과

 

    • 95 %의 기업 CEO가 사회 내에서 핵심적인 목적과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개인적인 책임을 느낀다고 응답함.

 

    • 전체 응답자 중 87 %가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에 있어 SDGs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응답함.

 

    • 응답자 100%가 SDGs를 향한 진전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분야 간 협력 및 파트너십을 꼽음.

 

    • 유엔 기구 대표 및 실무자의 28%가 해당 기관이 민간 부문과 충분히 협력하고 있다고 응답함.

 

    • 유엔 기관 응답자의 55%는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 전략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함.

 

– 원문보기

WEPs Global Trends Report 2018 (2018)

2018 여성역량강화원칙 글로벌 동향보고서(Women’s Empowerment Principles Global Trends Report 2018)는 여성역량강화원칙 성별 격차 분석도구(WEPs Gender Gap Analysis Tool)를 사용하여 기업의 성평등 및 여성역량강화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과 글로벌 비즈니스 동향을 제공합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와 유엔여성기구(UN Women)는 일터, 시장 및 지역사회에서 기업의 여성역량강화성평등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2010년 여성역량강화원칙(Women’s Empowerment Principles, WEPs)을 발족하고, 원칙 이행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지의 190개 기업들과의 협의 아래 제작된 성별 격차 분석도구(WEPs Tool)는 자가진단을 통해 기업이 여성역량강화 및 성평등에 대한 성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원문보기

Better Leadership, Better World (2018)

지난 2017년 1월, 지속가능발전위원회(Busin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ssion, BSDC)는 ‘더 나은 비즈니스, 더 나은 세계(Better Business, Better World)’ 보고서를 발간하여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민간부문의 인식변화에 기여했습니다. 본 보고서가 기술혁신, 정책 활성화 및 기업 리더십 강화와 같은 글로벌 요인을 확인했다면, 새롭게 발간된 ‘더 나은 비즈니스, 더 나은 세계: 글로벌 목표를 선도하는 여성들(Better Leadership, Better World: Women Leading for the Global Goals) 보고서’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은 성공요인인 ‘여성 리더’에 주목합니다.

연구 결과, 기업 리더십 내에서의 성별 다양성 증가가 기업의 성과와 전략적 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 임원인사에서 다양성을 확대하고, 리더십 파이프라인 내 여성 직원 수를 늘리는 등 인사 다양성을 목표로 하는 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기업이 글로벌 목표를 핵심 비즈니스 전략에 통합하고,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양성평등을 촉진하고 이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원문보기

Global Opportunity Report 2018 (2018)

유엔글로벌콤팩트는 DNV GL, Sustainia와의 공동연구 시리즈의 일환으로 2018 글로벌 기회 보고서(Global Opportunity Report 2018)를 새롭게 발간했습니다. 본 보고서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토지권 시장(SDG 목표 10),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냉각 시스템(목표 13)과 같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10대 신규시장을 소개합니다. 보고서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도전과제와 리스크가 어떻게 비즈니스 기회로 바뀔 수 있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The Breakthrough Pitch (2018)

The Breakthrough Pitch는 최고 지속가능성 책임자(CSO)를 비롯한 세계의 지속가능성 전문가들이 혁신적인 변화를 도모하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통해 미래 시장에서의 성공하도록 도움을 주는 템플릿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특히, 기업 환경에 맞는 혁신전략 적용 방안과 함께 글로벌 혁신 동향 및 관련 주요 참고자료를 제시합니다.

–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