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KO

Environment Issues

공정한 전환을 위한 비즈니스 브리프(2022)

안토니오 구테헤스(Anto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2021년 8월 IPCC 보고서(IPCC REPORT) 를 인류를 위한 ‘코드 레드(Code Red)’라고 표현했습니다. 기후 위기에 맞서려면 노동자, 지역사회, 산업 및 지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결단력 있고 일관된 조치가 필요합니다. 공정한 전환은 탄소중립 전환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적 포용을 증진하며 빈곤을 근절합니다. 사람 중심의 기후행동은 기후 전환 자체에 필요한 지원과 참여를 보장합니다.

『공정한 전환을 위한 비즈니스 브리프』는 UNGC 공정한 전환 씽크랩(UNGC Just Transition Think Lab) 참여사 및 파트너사와의 공동 집필을 통해 올해 9월 발간되었습니다. 본 브리프는 모두를 위한 공정한 전환을 실현하는 데 있어 기업의 역할을 소개하며, 공정한 전환의 의미, 기업의 우선 대응 조치, 관련 활동 영역 및 비즈니스 케이스를 다룹니다. 또한 누구도 소외하지 않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비전을 제시하며, 기업에서 야심차고 포용적이며 효과적인 전환 계획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 용어 해설과 자료 가이드를 포함합니다. UNGC 한국협회는 11월에 본 보고서를 번역 발간했습니다.

공정한 전환에서의 기업의 역할 및 공정한 전환을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가고자 하는 기업은 본 발간물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 문의: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김두일 연구원 (070-4327-5057, )
※ UNGC 한국협회 회원사는 로그인 후 ‘자료실-회원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OECD 국가의 원전 발전비중은 2000년 23%에서 2017년 18%로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재생에너지는 비중은 17%에서 27%로 확대됐다. OECD가 발표한 미래에너지 전망에서도 전 세계 원전 발전비중은 2017년 10%에서 2040년 9%로 줄고, 반면 재생에너지는 같은 기간 25%에서 42%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신규설비 투자 규모에서도 OECD 국가를 포함한 모든 국가의 재생에너지가 원전의 17배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영컨설팅업체 맥킨지앤드컴퍼니는 최근 ‘2021 글로벌 에너지전망(Global Energy Perspective 2021)’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가 에너지 지형에 전례 없는 수준의 변화를 일으켰다고 설명하며, 재생에너지의 비용이 갈수록 저렴해지면서, 2030년까지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화석연료를 뛰어넘을 것이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36년에는 재생에너지가 세계 발전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 몇몇 선진국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원전 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2017년 기준으로 영국 태양광은 원자력보다 발전단가 측면에서 2.7배 저렴하며, 미국은 4.1배 저렴하다. 이에 많은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 비중을 늘리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을 에너지 정책방향으로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소비전력의 약 50%를 차지하는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사용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자발적 캠페인, RE100 이니셔티브는 작년 펜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도전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재생에너지에 대한 니즈가 지속되었다고 발표했다. 2021년 2월 초 기준으로 RE100 이니셔티브에는 구글·애플·GM·마이크로소프트·BMW·이케아 등을 포함한 총 280여 기업이 가입되어 있다.
2020년 12월 발표된 RE100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해동안 RE100 참여 기업은 본사 기준으로 미국(79)의 비율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국(40)이 뒤를 이었고, 일본(39), 스위스(13), 프랑스·독일(11) 등 주로 북반구 선진국 기반 기업들의 참여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일본(39), 호주(11), 중국(6) 순으로 많이 참여하고 있는데, 이는 2020년에 신규 가입한 기업들 중 40%가 넘는 수치이다.
※ 2021년 2월 기준으로 한국에서는 6개 기업의 가입이 완료됨

산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서비스업 및 금융업이 가장 많았고, 제조업, 식음료, 리테일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020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가입 증가률을 보인 산업 분야는 사회제반시설·인프라 부문으로 전년도 대비 73% 증가했으며, 제조업(61%)과 패션 부문(43%)이 그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제조업, 시멘트, 건설업 등이 참여했고, 3개 공항의 재생가능에너지 100% 운영 선언이 주목할 만하다.

국내 기업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향

한국은 2020년 10월 28일,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이와 함께 기업의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 및 제도 마련에 속도를 높이고 있는데,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1월 5일, 기업을 포함한 전기소비자가 재생에너지를 선택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형 RE100(K-RE100) 제도를 올해부터 본격 도입한다고 밝혔다. 2020년 9월 ‘그린뉴딜 정책간담회’를 통해 발표한 ‘국내RE100 이행 지원방안’이 실제 적용되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변화되는 상황에서 한국형 RE100 제도가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고 밝혔다. 금년부터 시행될 한국형 RE100(K-RE100) 제도의 주요 특성은 아래와 같다.

재생에너지 조달수단 및 수단별 이행계획 등 자세히 보기

“1.5°C를 위한 비즈니스 리더십” 보고서

2015년, 파리협약은 세계 정부가 지구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C 이하로 제한하여 기후 변화로 인한 최악의 영향을 예방하고 더 나아가 온도 상승을 1.5°C로 제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각 정부의 추진의지는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1.5°C 이하로 온난화를 유지할 수 있으려면 기존의 정부 추진의지를 5배 향상시켜야 한다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1.5°C의 지구 온난화에 관한 ‘2018년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특별 보고서’는 모든 부문과 국가에서 긴급한 기후 행동의 필요성을 증대시켰으며, 0.5°C가 막대한 차이를 가져온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기업에게는 새로운 시장 현실(market reality)이며, 근본적인 사고 방식의 변화를 필요로 합니다. 현존하는 기술들은 파리협약 목표 달성을 포함한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아직 많은 분야에서 보다 가속화된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본 보고서는 기후 리더십의 기본 전제 조건인 ‘기회 마인드셋(Opportunity Mindset)’이 어떻게 1.5°C 시나리오를 통해 기업에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지 제시합니다. 또한 기업들이 기후변화 문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글로벌 전문가의 인사이트와 주요 기업들의 전략 및 솔루션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고서 다운받기]

Setting Site Water Targets Informed By Catchment Context: A Guide For Companies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발간물] 『상황 기반 지역 수자원 목표 설정 가이드』</strong></p>
<img class=”aligncenter wp-image-8494 size-full” src=”http://unglobalcompact.kr/wp-content/uploads/2019/09/76.png” alt=”” width=”368″ height=”473″ />

<span style=”color: #000000;”>* 본 가이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지역(Site)’은 기업이 소유 및 운영하고 기반 활동하는 부지 및 시설을 말합니다.</span>

<span style=”color: #000000;”>수자원 소비 및 오염 증가, 강력하지 못한 관리 체계, 그리고 기후 변화로 인해 전 세계 수자원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에 노출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수자원과 관련된 외부 효과로부터 자사를 보고하고 늘어나는 소비자 니즈에 대응하는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수자원 관리(water stewardship)에 참여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span>

<img class=”wp-image-8490″ src=”http://unglobalcompact.kr/wp-content/uploads/2019/09/2-5.png” alt=”” width=”500″ height=”257″ /> 상위 5개 수자원 위험 요인 및 잠재적 재정 영향력 (CDP, 2019)

&nbsp;

<span style=”color: #000000;”>유역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한 지역 수자원 목표는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고 정보에 근거하여 지역 차원에서 행동을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아직 소수의 기업들 만이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span>

<span style=”color: #000000;”>본 가이드는 기업이 유역 상황을 반영한 효과적인 지역 수자원 목표를 설정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리스크를 줄이며, 공동의 노력을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부지 및 시설 담당 직원, 수자원 관리 담당 직원, 수자원 관련 기술 전문가 및 관련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본 가이드는 효과적인 부지 및 시설 수자원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와 각 요소와 관련된 권고 활동을 제시합니다.</span>

<img class=”wp-image-8491″ src=”http://unglobalcompact.kr/wp-content/uploads/2019/09/3-4.png” alt=”” width=”500″ height=”408″ /> 유역 상황을 반영하는 수자원 목표 설정 3가지 요소
<ol>
<li><span style=”color: #000000;”>유역 내 수자원 문제들을 최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span></li>
</ol>
<ul>
<li><span style=”color: #000000;”>운영 리스크, 의존성 및 영향들을 이해합니다</span></li>
<li><span style=”color: #000000;”>목표를 세울 물리적 범위(Scope)를 설정합니다.</span></li>
<li><span style=”color: #000000;”>유역 내 수자원 문제를 우선순위에 둡니다.</span></li>
</ul>
&nbsp;
<ol start=”2″>
<li><span style=”color: #000000;”>수자원 목표의 스케일은 기업의 기여도와 지역의 이상적인 목표 상태(desired conditions)를 반영해 설정해야 합니다.</span></li>
</ol>
<ul>
<li><span style=”color: #000000;”>가장 시급한 수자원 문제의 이상적 목표 상태를 설정합니다.</span></li>
<li><span style=”color: #000000;”>현 상태와 목표 상태 간 차이를 평가합니다.</span></li>
<li><span style=”color: #000000;”>목표 상태에 대한 기업의 기업 기여도를 설정합니다.</span></li>
</ul>
&nbsp;
<ol start=”3″>
<li><span style=”color: #000000;”>수자원 목표는 리스크를 줄이고, 기회를 활용하며 공공부문 문제에 기여해야 합니다.</span></li>
</ol>
<ul>
<li><span style=”color: #000000;”>참여 가능한 수자원 이니셔티브, 공동 노력, 공공정책 이니셔티브를 파악합니다.</span></li>
<li><span style=”color: #000000;”>목표 상태 도달하기 위해 현재 이뤄지고 있는 다양한 노력에 참여할 수 있는 목표를 세웁니다.</span></li>
<li><span style=”color: #000000;”>실행 전략을 세우고 진행 상황을 측정합니다.</span></li>
</ul>
&nbsp;

<span style=”color: #000000;”>지역 수자원 목표는 종종 전체 수자원 사용량, 수자원 효율성 및 수질에 중점을 둔 기업 차원의 목표에서 설정되며 안전하고 저렴한 식수의 접근, 위생 및 위생시설(WASH)과 같은 수자원 문제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목표는 해당 지역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span>

&nbsp;

<img class=”wp-image-8492″ src=”http://unglobalcompact.kr/wp-content/uploads/2019/09/4-1.png” alt=”” width=”500″ height=”181″ /> 지역 목표와 수자원 관리 접근법

<span style=”color: #000000;”>대부분의 경우, 기업 혼자의 활동으로 유역의 수자원 안보를 눈에 띄게 향상시키기 어렵습니다. 기업이 다른 수자원 이용자들과 협력하여 지역 상황과 상대적 책임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바탕으로 수자원 목표를 설정할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단기적으로 달성되기 어려운 경우, 기업은 리더십을 발휘해 유역 상황을 반영하는 수자원 목표를 세우고 수자원 문제를 보다 완만히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span>

&nbsp;

<strong><a href=”https://pacinst.org/wp-content/uploads/2019/08/Setting-Site-Water-Targets-Guide-2019.pdf”>[원문보기]</a></strong>

Water Stewardship Toolbox (Website)

  • 수자원 스튜어드십 툴박스(Water Stewardship Toolbox)

수자원 스튜어드십 툴박스 웹사이트

수자원 스튜어드십(water stewardship)은 사회적으로 공평하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며, 경제적으로 유익한 방식으로 수자원을 이용 및 관리하는 것을 뜻합니다. 스튜어드십은 기업뿐 아니라 수자원을 이용하는 농업인,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으며, 수자원 관련 이슈의 해결과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그리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수자원 스튜어드십의 이행을 통해 기업은 성장과 생존을 저해하는 수자원 리스크를 파악하고 관리함과 동시에 더 나은 수자원 활용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새롭게 런칭되는 유엔글로벌콤팩트의 수자원 스튜어드십 툴박스(Water Stewardship Toolbox)는 UNGC 이슈 플랫폼 ‘수자원 관리 책무(The CEO Water Mandate)’가 개발한 웹사이트로 기업의 수자원 이용 및 관리와 관련된 최신 툴, 가이드라인, 사례 연구,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현재 본 웹사이트는 국제노동기구(ILO),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경제포럼(WEF) 등 250여곳이 넘는 국제기구, 글로벌 이니셔티브연구소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주 업데이트 됩니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Global Opportunity Report 2019 (2019)

Global Opportunity Explorer 2019 Insight는 미래 기후 환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6개 부문을 조명합니다. 연결성(Connectivity), 에너지(Energy), 금융(Finance), 건축환경(Built Environment), 이동성 (Mobility), 그리고 식량(Food) 부문에 속해 있는 기업들은 그들의 사업을 기후 리스크에서 기후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올해 Global Opportunity Explorer는 기후변화의 새로운 시장 환경 하에서 혁신 기회를 발견한 기업들과 비즈니스 리더들의 솔루션 및 전략, 비전을 조사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 레이스에서의 승리가 비즈니스 리더들의 비전과 리더십에 달려 있는 만큼, 리스크를 기회로 전환한 글로벌 기후 리더들의 통찰과 혜안을 공유합니다.

-원문보기

The Ambition Loop — How Business and Government Can Advance Policies that Fast Track Zero-Carbon Ecnomic Growth (2018)

기후 변화를 해결하기 위해 취하는 모든 비즈니스 차원의 행동은 정부에게 자신감과 신뢰를 더할 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기후 목표를 더 빨리 달성할 수 있도록 강력한 정책을 제정하게끔 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새롭게 소개된 야심 찬 목표와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입법안은 회사의 제로 탄소를 위한 투자의 필요성과 확실성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결합하게 되면 긍정적인 선순환, 즉, 앰비션 루프(ambition loop)가 생기게 됩니다. 기업들은 이미 100퍼센트 재생 에너지 참여, 에너지 효율 증가, 삼림 벌채 종식, 제로 카본 차량으로의 전환하는 등 과학적 감축 목표를 추구하며 앰비션 루프의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본 발간물은 기업과 정부가 탄소-제로 경제 성장을 빠르게 추적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합니다. 과감한 기후 변화 해결책을 추구하는 수백 개의 사업체와 2020년 이전까지 기후 계획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하는 국가들의 노력으로 더 큰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탄소-제로 경제에서 ‘기회’를 포착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움직임을 확산하고 기업이 기후 솔루션에 대한 추가적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명확함과 자신감을 회사에게 제공해야합니다. 이것이 바로 ‘앰비션 루프(Ambition Loop)’가 되며 이는 대담한 정부 정책과 민간 부문의 리더십이 서로 상호 강화시켜, 함께 기후 행동을 다음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는 긍정적인 피드백 고리입니다.

앰비션 루프(Ambition Loop)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이외 사례 연구들을 포함합니다.

    • 노르웨이와 캘리포니아는 강력한 요구와 인센티브를 통해 전기 자동차 판매의 글로벌 리더가 되었습니다.

 

    • 명확한 자금 조달은 중국에서 전기 버스의 급속한 확장으로 이어졌습니다

 

    •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의 코코아 공급망 투명성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은 삼림 벌채를 줄이는 동시에 코코아 생산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6: Synthesis Report 2018 on Water and Sanitation (2018)

지속가능발전목표 6번 ‘물과 위생’ 2018 종합보고서(Sustainable Development Goal 6: Synthesis Report 2018 on Water and Sanitation)는 유엔 SDGs 6번 ‘물과 위생’ 관련 지표의 글로벌 이행 현황과 2030년까지 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도전과제, 관련 데이터 및 심층연구 결과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모두를 위한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의 접근성 확보 및 지속가능한 관리를 강조하는 SDG 목표6번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문제와 자연재해 위험 증가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유네스코(UNESCO)가 주도하는 유엔세계물평가프로그램(WWAP)의 지원 하에 UN-Water 태스크포스(TF)팀에서 제작발간하였으며, SDG목표 6번의 8개 세부목표의 진전사항과 함께 물 이슈와 경제사회환경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UNGC)는 13개 유엔 기구 및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기구 간 협의체 ‘UN-Water’의 태스크포스(TF)팀에 참여하여 세계 기업 수자원 이용 현황과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보고서에 기여했습니다.

– 원문보기

Global Opportunity Report 2018 (2018)

유엔글로벌콤팩트는 DNV GL, Sustainia와의 공동연구 시리즈의 일환으로 2018 글로벌 기회 보고서(Global Opportunity Report 2018)를 새롭게 발간했습니다. 본 보고서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토지권 시장(SDG 목표 10),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냉각 시스템(목표 13)과 같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10대 신규시장을 소개합니다. 보고서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도전과제와 리스크가 어떻게 비즈니스 기회로 바뀔 수 있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