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KO

본부 발간자료

Guide for Business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7)

장애인의 권리 향상을 위한 비즈니스 안내서(Guide for Business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는 장애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지지할 수 있는 기회들을 제시하고, 유엔글로벌콤팩트 10대 원칙, UN 장애인 권리 협약(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 기업과 인권 이행 원칙(The 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국제노동기구 노동자 기본권선언(The ILO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Rights at Work)와 같은  유엔 협약 및 프레임워크와 연계하여 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원문보기

Global Climate Action Playbook (2018)

글로벌 기후행동 로드맵

2015년 12월 12일,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전세계 195개국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파리협약(Paris Agreement)을 채택했습니다.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보다 2℃ 이하 유지를 목표로 하는 파리협약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민간부문의 기후행동을 촉구하는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주요 모멘텀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각국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부응해, 12,500개가 넘는 기업, 투자자, 시민사회, 도시 및 지자체들이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동참하는 서약에 동참했습니다.

2017년 11월, 유엔글로벌콤팩트는 세계자원연구소(World Resource Institute, WRI)와 함께 ‘글로벌 기후행동 플레이북 2018(Global Climate Action Playbook 2018)’을 발간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유엔글로벌콤팩트가 2017년 새롭게 도입한 ‘저탄소 및 회복력 있는 발전을 위한 길(Pathways to Low-Carbon & Resilient Development)’ 행동 플랫폼의 일환으로, 기업이 파리협약의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관련 기회와 참여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후행동 플레이북 2018’의 주요내용을 소개합니다.

기후행동 참여방안 1. 2018년 글로벌 기후변화 행사 참여하기

 

2018년 COP24 전 까지 국가별 기여방안 향상을 위한
기후 목표를 공유할 행사 기회를 찾아보세요!

다가올 몇 년은 글로벌 기후 행동 이행에 있어 매우 중대한 시기입니다. 특히, 캘리포니아 글로벌 기후 행동 정상 회담(California Global Climate Action Summit)과 제24차 당사국총회(COP24)가 개최되는 2018년은 기업과 정부 지도자들이 주목할 만한 기후 회의가 열리는 해로, 기업들에게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제24차 당사국총회(COP24)는 기업이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국가별 기여방안(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s)을 실천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할 ‘기후 목표’를 발표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민간부문의 참여와 지지는 국가별 기여방안(NDCs)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미 많은 기업들과 투자자들이 ‘글로벌 기후행동을 위한 마라케시 파트너십(Marrakech Partnership for Global Climate Action)’을 포함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분야별 목표 달성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2018
년 주요 기후변화 행사

 

 

기후행동 참여방안 2. 국가별 기여방안(NDCs) 와 연계하기

 

정부 관계자(경제 또는 환경 부처)와 접촉 시, NDCs를 활용하거나 언급하세요.
NDCs 중 기업 및 투자자들의 목표를 지원할 수 있는 분야들에 대한 대화를 이끌어 내세요!

국제금융공사(IFC)에 따르면, 재생가능한 에너지(2,970억 달러), 에너지 저장시설(25억 달러), 녹색 빌딩(3,880억 달러), 기후대응(climate-smart) 도시 교통수단(2,880억 달러), 물 재활용(230억달러) 및 지자체 폐기물 관리(1,600억 달러) 등 기후변화 솔루션 개발을 위해 매년 1조 달러 이상의 자금이 투자되고 있습니다. 해마다 관련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가별 기여방안(NDCs)를 활용한다면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와 정부의 목표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기회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기후행동 참여방안 3. SDGs 우선순위와 연계하기

 

‘SDG 리더십을 위한 청사진(The Blueprint for Business Leadership on the SDGs)’(p. 124-131,
Goal 13)을 참고하여 소속 산업을 이끌고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기후 행동을 연계할 수 있는 활동들이 무엇일지 알아보세요!

기업들과 투자자들은 각 국가의 경제 발전 진로와 궤를 함께 하며, 국가별 기여방안 (NDCs) 및 SDGs 달성에 기여해야 합니다. 각 국가의 NDCs와 SDGs계획, 경제 목표 등을 참고하면, 자사의 기후 목표를 각 국가의 우선 해결과제들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DG 리더십을 위한 청사진’은?] 

유엔글로벌콤팩트는 SDGs 17개 목표에 입각한 기업 리더십 사례 및 책임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는 ‘SDG 리더십을 위한 청사진(Blueprint for Business Leadership on the SDGs)’을 발간하여 기후행동과 연계된 SDGs 이행을 위한 전략, 목표, 영향력 등을 구체화하였습니다. 본 안내서는 기업이 기후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사업 기회를 발견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후에 대한 배려’란?] 

유엔글로벌콤팩트는 2007년부터 유엔환경계획(UNEP)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과 함께 ‘기후에 대한 배려(Caring for Climate)’ 이니셔티브를 런칭하였습니다. 기후에 대한 배려 이니셔티브는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기업의 역할 및 참여를 동시에, 기업 경영자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합니다.

2017년 현재 유엔글로벌콤팩트 기후에 대한 배려(Caring for Climate)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는 회원사는 국내기업 15개사를 포함해 총 454개사입니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경영 전략 및 제반 사항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기후에 대한 배려 리더십 서약(Caring for Climate Statement)’에 서명해야 합니다. 또한, 기업 운영에 있어 에너지 사용의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온실가스 목표 및 감축 전략을 설정하고,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한 활동 정보를 유엔글로벌콤팩트 이행보고서(COP)를 통해 매년 공개해야 합니다.

[기후변화와 기업] 

많은 기업 리더들이 기후변화와 환경파괴가 새로운 리스크를 야기하고, 기업의 사업 기회와 기업 경쟁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14년 발표한 ‘제5차 평가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계속되는 온실가스 배출로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성이 증가하였으며, 생태계에 다음과 같은 4가지 위험의 발생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을 전망되고 있습니다.

 

    • 폭염, 홍수 등에 따른 생명과 재산 피해

 

    • 극한 기후로 인한 기반시설과 공공서비스 기능 훼손

 

    • 식량과 물 부족

 

    • 생물다양성 및 자연환경 훼손

 

기후변화는 민간부문의 활동 방식에서부터 사업 환경, 성공할 수 있는 역량을 바꿀 것입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기술과 정책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면, 기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를 기회이자 미래 성장의 동력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Global Climate Action Playbook 2018’ 바로가기
– 기후에 대한 배려(Caring for Climate) 이니셔티브 참여하기

Blueprint for Business Leadership on the SDGs (2017)

Blueprint

‘SDG 리더십을 위한 청사진(The Blueprint for Business Leadership on the SDGs)’은 규모, 산업, 지역에 상관없이 모든 기업들이 글로벌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동 안내서는 야심(Ambitious), 협력(Collaborative), 책임(Accountable), 일관성(Consistent), 의도(Intentional)의 5가지 리더십 요소가 어떻게 기업의 전략, 사업모델, 제품, 공급사슬, 파트너십, 운영방식에 적용되어 기업에 대한 기대치를 높이고,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SDGs에 관해 리더십을 발휘하고자 하는 모든 기업들에게 유용한 자료입니다.

원문보기

2017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Progress Report: Business Sol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2017)

SDGs 뉴스_01

SDG 뉴스

유엔글로벌콤팩트는 2017년 한해 동안의 진전과 성과를 담은 ‘2017 UNGC 이행보고서(2017 UNGC Progress Report)’를 발간했습니다. 이번 ‘2017 UNGC 이행보고서’는 처음으로 UNGC에 참여하는 9,50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SDGs 달성 성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기업의 75%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본 보고서는 회원사들은 책임 있는 비즈니스 활동을 미래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필수 요소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회원사들은 책임 있는 비즈니스 활동을 경제, 사회, 환경적 도전들을 해결하기 위한 열쇠로서 깊이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2017년 이행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소개합니다.

● 69%의 응답자들이 그들의 최고경영자가 지속가능성 정책들과 전략들을 개발, 평가하는 데 참여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 이사회 참여도가 2015년 이후 28% 증가하여 47%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속가능성이 더 많은 기업들에서 최우선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기업들이 정책들과 관행들을 통해 다루는 10대 원칙 측면에서 ‘인권 및 반부패’가 ‘환경 및 노동’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 응답 기업의 90% 이상이 해당 분야에서 준비된 정책들과 관행을 갖추고 있다고 응답하였습니다.

● 노동 인권 성과를 감시하고 평가하는 기업들이 2008년 44%에서 2017년 53%로 증가했습니다.

최우선시 하는 SDGs 목표 순위

– 목표 8번: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49%)
– 목표 3번: 건강과 복지 (49%)
– 목표 5번: 양성평등 (45%)

– 80%의 응답자들은 UNGC 참여가 자사의 지속가능성을 진척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이 중 57%는 UNGC가 기업 지속가능성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하는 중요한 책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과 1. 인권, 반부패 이슈에 대한 지지 및 내부 정책 증가 (Policies and support for human rights and anti-corruption is growing)

 스크린샷 2017-10-02 오후 8.13.26

작년과 대비해 인권 및 반부패 관련된 정책을 갖고 있는 회원사들의 숫자가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UNGC 회원사의 90% 이상이 유엔글로벌콤팩트 10대 원칙 전분야에 걸쳐 내부 정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과 2. 목표와 행동 간 불일치 (Mind the gap: Actions and intentions are not aligned)

스크린샷 2017-10-02 오후 8.19.15

위의 그림은 이슈별로 영향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회원사들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특히 인권 및 반부패 분야의 영향 평가를 실시하는 회원사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듯 우리는 여전히 정책들을 행동에 옮기는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결과 3. SDGs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Strong engagement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스크린샷 2017-10-02 오후 8.26.22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채택된 지 2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습니다. 위의 자료는 회원사들이 UN의 17개 SDG 목표 중에서 어떤 목표에 집중하여 활동하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이미 75%의 회원사들은 SDGs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에 옮기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글로벌 목표에 따라 행동하는 주요한 방법은 글로벌 목표를 그들의 핵심 비즈니스에 내재화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결과 4. 최고경영자들의 높은 참여도 (CEO’s are highly engaged)

스크린샷 2017-10-02 오후 8.42.53

69%의 기업들이 책임 경영 정책 및 전략을 최고경영자 차원에서 개발,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2008년 이래로 4% 증가한 것입니다.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및 정책을 점점 더 핵심 비즈니스와 연계해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과 5. 공급망 지속가능성의 향상 (Supply chain sustainability is improving)

이제 60% 이상의 회원사들은 그들의 공급자들에게 적용되는 유엔글로벌콤팩트 10대 원칙 관련 정책들을 갖고 있습니다. 노동 정책을 요구하는 공급업자들과 일하는 기업들의 숫자가 2008년 32%에서 2017년 64%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공급망과 연결된 지속가능성을 추진하는 것은 도전과제로 남아 있으며 57%의 대기업들은 이를 주요한 지속가능성 문제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결과 6. UNGC의 전세계적인 확대 (The global compact is becoming more global)

2000년 44개 회원사를 갖고 있던 유엔글로벌콤팩트는 이제 145개국 9,500개 회원사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이는 포춘 500대 기업의 28%를 포함한 것입니다. 민간 부문에서 종사하는 6천6백만 명의 사람들이 UNGC 회원사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결과 7. 유엔글로벌콤팩트의 가치 부여 역할 (The global compact adds value)

80%의 회원사들은 유엔글로벌콤팩트가 그들의 조직에서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57%의 기업들은 유엔글로벌콤팩트 네트워크가 기업 지속가능성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진술합니다.

결과 8. 보고(Reporting)의 주류화 (Reporting is becoming mainstream)

UNGC의 회원사들은 정기적으로 ‘참여보고서(Communication on Engagement, COE)’ 및 ‘이행보고서(Communication on Progress, COP)’를 제출해야 합니다. 70%의 회원사들은 공개적으로 보고를 실행하고 있으며 55%의 기업들은 보고 활동이 비즈니스에 지속가능성을 내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합니다. 실제로 많은 공개 보고 활동들은 유엔글로벌콤팩트에 가입하는 주된 이유입니다.

결과 9.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 필요 (SMEs need support)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복잡성, 노하우, 및 자원들은 중소기업들이 큰 성과를 내는 것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회원사들은 보고(Reporting) 활동을 가장 큰 도전과제로 꼽았습니다.

-원문보기

Business Reporting on the SDGs: An Analysis of the Goals and Targets (2017)

business reporting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전세계 주요 지속가능성 이슈와 상호연결성에 관해 일관된,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와 함께, 기존의 기업 보고 프레임워크에 통합된 형태로서, 10대 원칙 및 SDGs에 관한 포괄적 보고를 권장합니다. 동 보고서는 SDG 목표 및 세부목표를 분석하여 기업 보고에 SDGs가 내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업 내 투명성 증진과 상호학습을 가능케 할 것 입니다.

원문보기

Human Rights Translated 2.0 (2017)

Human rights

“인권 번역서 2.0(Human Rights Translated 2.0)”은 유엔글로벌콤팩트와 호주 모내시 대학교 카스탄 인권법 연구센터(Monash University Castan Centre for Human Rights Law)의 공동 발간 자료로, 인권이라는 보편적인 권리에 대한 기업들의 이해를 돕고, 실제 사례를 통해 기업의 인권 적용 방안을 제시합니다. 본 자료는 인권에 대한 원칙들을 기업문화, 경영 및 사업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매뉴얼로 활용 가능합니다.

원문보기

Making Global Goals Local Business (2017)

신규 발간자료 1
유엔글로벌콤팩트의 “Making Global Goals Local Business”는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기업의 인식 향상 및 활동 증진을 위한 전략을 다루고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는 안토니오 구테흐스(Antonio Guterres) 사무총장의 지원과 리더십 아래 연례 리더스 서밋을 개최하고, SDG 선구자(SDG Pioneers) 프로그램, SDG 이행 계획, 유엔-비즈니스 파트너십 및 영향력 보고와 같은 다채로운 사업을 통해 전세계가 직면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원문보기

Aligning Values: Why Corporate Pension Plans Should Mirror Their Sponsors

PRI

유엔글로벌콤팩트와 책임투자원칙(Principle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이 공동 발간한 본 안내서는 주요 기업연금 사례를 통해 기업들이 어떻게 지속가능한 연금제도를 수립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책임투자원칙(PRI) 서명과 같이 지속가능한 투자를 위해 CEO가 취할 수 있는 5단계 행동을 소개합니다. 이와 함께 안내서는 지속가능성 증진에 있어 중요한 투자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정체되었던 기업연금분야를 활성화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Better Business, Better World: India (2017)

인도 보고서 표지

2017년 유엔글로벌콤팩트 ‘Making Global Goals Local Business 인도 회의’의 개최에 맞춰 지속가능발전위원회(Busin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ssion, BSDC)가 발간한 ‘더 나은 비즈니스, 더 나은 세계 인도판(Better Business, Better World: India)’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현지 기업들의 이해를 높이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동 보고서는 인도의 SDG 이행으로 2030년까지 4개 핵심분야(식품 및 농업, 도시, 에너지 및 광물, 보건 및 웰빙)에서만 1조 달러의 경제 가치와 720만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고 추산하였습니다. 보고서는 4개의 핵심분야 외에도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핫 스팟(Hot spots)을 소개합니다.

원문보기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rom Promise to Practic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_From Promise to Practice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은 유엔의 주요 목표이자 우선순위입니다. 이는 갈등의 예방과 안정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기도 합니다. ‘지속가능발전목표: 약속에서 이행까지(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rom Promise to Practice)’는 국제 협력 사례와 중장기 혁신 사례들을 소개하고,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대한 분석 및 권장사항을 제시하여 세상을 변화시키는 행동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 UNA-UK 소개

UNA-UK(The United Nations Association – UK)는 유엔(United Nations)에 대한 영국의 독립적인 정책 기구이자 영국 전역에 20,000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는 풀뿌리 운동입니다. UNA-UK는 영국 내 국회의원, 오피니언 리더 및 대중들에게 유엔을 알리고, 더 공정하고 안전하며 지속가능한 세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