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KO

본부 발간자료

Business School Rankings for the 21st Century (2019)

<Business School Rankings for the 21st Century>는 미래 경영자를 육성하는 비즈니스 스쿨이 21 세기의 니즈를 포함하도록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된 지속가능경영과 실현 가능한 변화를 제안합니다. 또한 경영교육기관이 교육의 질적개선과 함께 평가순위를 향상 시킬 수 있는20 가지 행동을 제시합니다. 본 발간물은 세계 비즈니스 스쿨과 교육 인가기관, 경영교육 분야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와 아비바 인베스터즈(Aviva Investors)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원문보기

Global Opportunity Report 2019 (2019)

Global Opportunity Explorer 2019 Insight는 미래 기후 환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6개 부문을 조명합니다. 연결성(Connectivity), 에너지(Energy), 금융(Finance), 건축환경(Built Environment), 이동성 (Mobility), 그리고 식량(Food) 부문에 속해 있는 기업들은 그들의 사업을 기후 리스크에서 기후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올해 Global Opportunity Explorer는 기후변화의 새로운 시장 환경 하에서 혁신 기회를 발견한 기업들과 비즈니스 리더들의 솔루션 및 전략, 비전을 조사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 레이스에서의 승리가 비즈니스 리더들의 비전과 리더십에 달려 있는 만큼, 리스크를 기회로 전환한 글로벌 기후 리더들의 통찰과 혜안을 공유합니다.

-원문보기

The Ambition Loop — How Business and Government Can Advance Policies that Fast Track Zero-Carbon Ecnomic Growth (2018)

기후 변화를 해결하기 위해 취하는 모든 비즈니스 차원의 행동은 정부에게 자신감과 신뢰를 더할 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기후 목표를 더 빨리 달성할 수 있도록 강력한 정책을 제정하게끔 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새롭게 소개된 야심 찬 목표와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입법안은 회사의 제로 탄소를 위한 투자의 필요성과 확실성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결합하게 되면 긍정적인 선순환, 즉, 앰비션 루프(ambition loop)가 생기게 됩니다. 기업들은 이미 100퍼센트 재생 에너지 참여, 에너지 효율 증가, 삼림 벌채 종식, 제로 카본 차량으로의 전환하는 등 과학적 감축 목표를 추구하며 앰비션 루프의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본 발간물은 기업과 정부가 탄소-제로 경제 성장을 빠르게 추적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합니다. 과감한 기후 변화 해결책을 추구하는 수백 개의 사업체와 2020년 이전까지 기후 계획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하는 국가들의 노력으로 더 큰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탄소-제로 경제에서 ‘기회’를 포착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움직임을 확산하고 기업이 기후 솔루션에 대한 추가적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명확함과 자신감을 회사에게 제공해야합니다. 이것이 바로 ‘앰비션 루프(Ambition Loop)’가 되며 이는 대담한 정부 정책과 민간 부문의 리더십이 서로 상호 강화시켜, 함께 기후 행동을 다음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는 긍정적인 피드백 고리입니다.

앰비션 루프(Ambition Loop)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이외 사례 연구들을 포함합니다.

    • 노르웨이와 캘리포니아는 강력한 요구와 인센티브를 통해 전기 자동차 판매의 글로벌 리더가 되었습니다.

 

    • 명확한 자금 조달은 중국에서 전기 버스의 급속한 확장으로 이어졌습니다

 

    •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의 코코아 공급망 투명성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은 삼림 벌채를 줄이는 동시에 코코아 생산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Human Rights: The Foundation of Sustainable Business (2018)

본 보고서는 전세계 인권 증진을 위해 기업 활동을 펼친 지역 협회와 유엔글로벌콤팩트 회원사들의 우수 사례를 소개합니다.   

2030 의제를 성공적으로 이행하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발전을 이루기 위해 기업은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독려하고 다양한 인권영향을 적극 관리하며, 인권 침해에 대해 공정하고 효과적인 구제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에 유엔글로벌콤팩트(UNGC)는 전 규모, 부문, 지역을 대표하는 비즈니스들과 협력해 기업이 글로벌 및 지역수준에서 성공적인 파트너십과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참여에서 더 나아가 행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018 UNGC 이행 보고서(UNGC Progress Report)를 토대로 세계 인권 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 70 주년을 기념하여 발간된 <Human Rights: The Foundation of Sustainable Business>는 UNGC 각국 협회의 활동과 통찰력을 공유합니다. 본 자료는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 지침(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UNGP)’의 준수와 확산을 돕는 다양한 이니셔티브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세계 UNGC 회원들의 인권증진 우수 사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사무총장 리세 킹고는 “세계 인권 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은 비즈니스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집니다. 우리는 기업들에게 인권이 전략의 핵심에 자리하는 원칙 기반 접근 방식을 활용할 것을 권장해 왔습니다. 글로벌 목표(Global Goals)에 대한 의미 있는 기업 활동은 단순히 진입 지점을 찾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먼저 가치 시스템을 변화시키고, 무결성의 문화를 확립하고, 기업 관행을 보편적인 원칙에 맞춰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인권 증진에 있어서 비즈니스가 기여한 바를 기념함과 동시에 인권 존중이 전 세계적으로 확립되기 전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해 있는 중대한 인권 문제를 강조하면서,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현대판 노예제도에서 살아가고 있는 4천만 명의 사람들과 더불어서 경제적 성별 격차가 벌어지는 현상에 대해 지적하고 있습니다.

27%의 기업만이 인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위험 평가를 수행하며 17%만이 인권과 연계된 영향 평가를 진행한다는 2018년 유엔글로벌콤팩트 이행 보고서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발간된 <Human Rights: The Foundation of Sustainable Business> 간행물은 이제는 기업들이 공급망과 운영 전반에 걸쳐 인권을 존중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확대하기를 강력히 권장합니다.

또한, 이 보고서는 세계 인권 선언 70주년에 이르기까지 유엔글로벌콤팩트가 이사회와 협력하여 인권 보호에 힘 쓰고, 교육 플랫폼에서 유엔 인권 최고대표 등을 초청해 교육 세션을 주최하고, 인권 주제의 CEO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는 등, 인권 분야에서 비즈니스 참여를 확장시키기 위해 펼친 노력을 재조명합니다.

원문보기

SDG Bonds & Corporate Finance: A Roadmap to Mainstream Investments (2018)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수조 달러에 이르는 시장기회를 가져옵니다. SDGs 시대를 맞이해 이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개발재원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국제사회는 금융 부문이 관련 재원 마련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임팩트 투자 수요가 높아지는 트렌드를 볼 때, SDGs 투자 시장에 충분한 규모, 유동성, 다양성이 구비될 경우 대형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는 물론 공공 및 민간부문의 SDGs 활동을 폭넓게 지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의 <SDG Bonds & Corporate Finance: A Roadmap to Mainstream Investments (2018)> 백서는 2030 의제 참여 기업, 정부, 지자체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SDG 이행을 위해 민간 자본시장을 활용하고, 이에 따른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본 발간물은 주요 SDG 채권과 함께 기업의 SDG 재원 마련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여 신흥시장의 재원 조달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기관 투자자들에게 국채, 기업 채권, 주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SDG 투자를 확대할 것을 촉구합니다.

– 원문보기

Decent Work in Global Supply Chains: A Baseline Report (2018)

전세계 무역의 약 80%가 공급망을 거쳐갑니다. 기업경쟁력의 핵심인 공급망은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 빈곤 감소에 크게 기여하지만, 생산 및 공급사슬 관리에 허점이 있을 경우 양질의 일자리 부족은 물론 인권과 노동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의 <Decent Work in Global Supply Chains(2018)> 보고서는 UNGC 글로벌 공급망 행동 플랫폼(Decent Work in Global Supply Chains Action Platform) 참여 기업의 공급망, 조달 및 지속가능성 담당 임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속가능한 조달 전략 개발을 위한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합니다. 또한, 현대 노예제, 아동노동 및 국제노동기준의 불이행과 같은 공급망 내 인권 문제를 해결 사례를 제공하고, 참여 가능한 이니셔티브 및 지침을 제공합니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양질의 일자리 행동 플랫폼 참여기업 

Accenture, A.P. Moller-Maersk, BASF SE, Fuji Xerox Co., Ltd., Pernod Ricard, Pirelli & C. S.p.A., Nestlé S.A., RELX Group, SAP Ariba, RELX Group plc, Restaurantes Toks S.A. de C.V., Total, Unilever, UPM-Kymmene Corporation, Volvo Cars

– 원문보기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Progress Report (2018)

2018년 유엔글로벌콤팩트의 성과와 활동을 담은 ‘2018 UNGC 이행보고서(UN Global Compact Progress Report 2018)’가 발간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회원사들이 어떻게 UNGC 10대 원칙을 이행하고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상당수가 SDGs 이행에 관해 CEO 및 고위 경영진의 지지를 얻고 있었으며, 임직원, 고객 및 이해 관계자들에게 기업 지속 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 이행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소개합니다.

    • 응답 기업의 90% 이상이 UNGC 10대 원칙을 이행하기 위한 정책 및 관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68%의 응답자들이 자사의 최고경영자가 지속가능성 정책 및 전략들을 개발, 평가하는 데 참여한다고 응답했습니다.

 

    • 임직원 수 5만명 이상인 대기업의 약 86%가 계약 및 구매 주문서와 같은 외부 문서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사항을 포함한다고 응답했습니다.

 

    • 응답 기업의 상당수가 기업 지속가능성 관련 활동을 보고하고 있으나, 해당 활동의 임팩트에 대한 측정과 보고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 기업의 55%가 연간 재무 보고서에 지속가능성 지표를 통합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 응답자의 66%가 UNGC 참여를 통해 자사의 지속가능성 정책 및 활동을 촉진할 수 있었다고 응답했습니다.

 

기업이 최우선시 하는 SDGs 목표 순위

–  목표 8: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69%)

–  목표 5: 양성평등 (64%)

–  목표 3: 건강과 복지 (62%)

– 원문보기

Building Peace and Prosperity: What Business Can Do (2018)

폭력과 갈등은 지속 가능한 발전에 큰 장애물이 되지만 이와 관련된 경제적 영향은 종종 간과됩니다. 2016년 한 연구에 따르면, 폭력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이 구매력 평가 기준(Purchasing Power Parity, PPP) 약 14조 3000억 달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세계 GDP의 12% 이상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민간부문은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위한 조건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원과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평화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이뤄낼 수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가 발간한 ‘Building Peace and Prosperity: What Business Can Do’ 리플렛은 기업과 투자 공동체, 정부, UN 기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분쟁 및 고위험지역의 평화 증진을 위해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을 제시합니다. 이 밖에도 유엔글로벌콤팩트와 9개 UN 기구가 참여하는 하는 8개 다자 이해관계자 플랫폼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평화 증진 관련 다자 이해관계자 플랫폼  

–  UNGC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 행동 플랫폼

–  UNGC Business for Peace (B4P) 이슈 플랫폼

–  The Connecting Business Initiative (CBi)

–  Generation Unlimited

–  Innovation in Partnerships: Making A Business Case for Peace

–  By supporting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n Human Rights (UDHR)

–  UNGC 여성역량강화원칙(WEPs)

–  20-20-20 파트너십

– 원문보기

In focus: Addressing Investor Needs in Business Reporting on the SDGs (2018)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달성은 정부와 기업의 노력뿐만이 아니라 투자자들의 참여를 필요로 합니다. SDGs 이행은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에 도움을 주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거나 그 중요성을 간과할 경우 기업의 재무는 물론 투자자들의 수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SDGs 목표와 SDGs 달성에 기여하는 데 있어서 기업의 역할, 그리고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와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 그리고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가 공동 발간한 <In Focus: Addressing Investor Needs In Business Reporting on the SDGs>는 기업이 자사의 SDGs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고하고, 투자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본 발간물은 ▲ SDGs 정보 공시의 중요성 ▲ 투자자들을 위한 SDGs 보고 요소 ▲ 투자자의 SDGs 정보공개 요구 및 SDGs 투자 동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문보기

Integra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to Corporate Reporting-A Practical Guide (2018)

기업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관련 보고 및 공시를 위한 지침서 <Integra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to Corporate Reporting: A Practical Guide (2018)>가 새롭게 발간되었습니다. 본 발간물은 UNGC 10대 원칙과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 지침,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공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기업의 SDGs 공헌과 성과 보고에 관한 단계별 지침을 제공합니다. 기업의 SDG 목표 확인 및 우선순위 파악(define priority SDG targets), 측정 및 분석(measure and analyze), 이행사항의 보고, 내재화 및 적용(report, integrate and implement change)의 3단계로 이뤄져 있으며, 각 단계별 우수 기업사례와 체크리스트를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SDGs 보고 및 공시를 위한 3단계

    1. SDG 목표 확인 및 우선순위 파악
      :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SDGs 목표 중 우선순위를 수립하고, 이행 및 공시할 목표를 식별합니다.
    1. 측정 및 분석
      : 비즈니스 목표를 설정하고, 결과를 측정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이행사항의 보고, 내재화 및 적용
      : SDG 이행 결과 및 개선 방법을 보고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