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탄소화의 현재와 미래: COP29와 글로벌 기후금융 분석
a
2024년 11월 11일부터 22일까지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는 전 세계 198개 당사국이 참여해 파리협정 목표에 맞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행과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논의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신규 기후재원목표(New Collective Quantified Goal, NCQG)설정 및 국제 탄소시장 규칙 완성을 포함한 글로벌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합의를 도출했습니다. 한편, 선진국과 개도국 간 재정적 책임 분담에 여전히 의견 차이가 남아 있어 향후 논의가 계속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OP29 개최 시기에 맞추어 MSCI Sustainability Insistute에서 발간한 ‘Net-Zero Tracker’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경제 전반의 진행 상황을 다양한 지표를 통해 분석합니다. 이 보고서는 상장 기업들의 탄소감축 속도를 평가하고, 개발도상국에서의 기후전환 자금조달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합니다. MSCI의 온도 상승 추정치(MSCI’s Implied Temperature Rise metric, ITR) 지표를 활용해 기업들의 기후 목표와 실제 성과를 분석하고, 기업들의 기후목표 설정 현황과 탄소 배출량 공개 수준에 대해 실질적 통찰을 제시합니다.
올해의 COP29는 1.5°C 이상 온난화가 이미 발생한 첫 해라는 상징적인 의미하에 개최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은 심각해지는 기후위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실물 경제의 탈탄소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다는 이유로 기후 공약에 대한 이행 속도를 조정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에서 에너지 전환 및 적응에 필요한 자금 조달 확대는 여전히 협상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제기되었고, 저탄소 기술로의 자본 흐름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8년 동안 재생에너지 투자는 화석연료 관련 투자를 초과했으며, 전 세계 에너지 투자 중 약 3조 달러의 3분의 2가 저탄소 기술에 투자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전환의 투자가 중요해지는 시점에, 전환투자 환경을 이해하고, 기후 공약과 투자 목표를 연결하기 위한 현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본문은 MSCI Sustianability Institute 보고서 내용을 번역 및 재구성하였습니다.
A
1. COP29 주요 의제 및 결과
올해 COP29의 주요 쟁점은 기후재원을 조성하기 위한 기후금융에 관한 논의였습니다. 본 회의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중요한 진전을 보여주었으나, 선진국과 개도국 간 재정적 책임 분담에 여전히 이견이 존재함을 드러났습니다. 또한, 탄소시장 규칙 확립과 신규 재원 목표 설정에는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지만, 실제 실행 과정에서의 여러 도전 과제가 예상됩니다.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적 협력과 신뢰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한편 차기 COP30은 2025년 브라질에서 열릴 예정으로, 각국의 이행 과제와 신규 목표 달성 여부가 주요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다음은 COP29에서 논의된 주요 의제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신규 기후재원목표(New Collective Quantified Goal, NCQG) 합의
국제사회는 2035년까지 연간 1조 3000억 달러의 기후재원을 조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중 연간 3,000억 달러는 선진국이 주도적으로 부담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기존 1000억 달러 목표보다 3배 이상 확대된 것으로, 공공·민간 재원이 모두 포함됩니다. 선진국과 개도국 간 기후재원 부담을 두고 갈등이 있었으나, 남남협력(South-South Cooperation)을 통해 개도국의 자발적 기여를 장려하는 타협안을 도출했습니다.
국제탄소시장 기반 확립
파리협정 제6조에 따라 국제탄소시장 규칙이 협상 시작 9년 만에 완성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국가 간 자발적 감축협력사업 절차(6.2조) △국제감축실적(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s, ITMOs) 관리 및 허가 절차 △감축실적 보고 불일치 처리 방안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제6.4조 메커니즘의 배출 기준선과 탄소 제거 활동 범위 표준이 확립되었고, 메커니즘 등록부 운영 방법도 구체화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탄소시장의 작동 기반이 완비되었다고 평가됩니다.
국제 협력 강화 이니셔티브 참여
유기성 폐자원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 감축을 위해 구체적인 정책과 로드맵을 수립하며 폐기물 관리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기후행동을 위한 물 이니셔티브’와 ‘바쿠 글로벌 기후 투명성 플랫폼’을 통해 개도국의 기후 대응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는 국제 협력 방안이 논의되었습니다. 그 밖에 도시와 건물 시스템의 온실가스 감축 강화가 강조되었으며, 디지털 플랫폼 신설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감축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기반이 구축되었습니다.
적응 및 감축 노력
적응 분야에서는 ‘바쿠 적응 로드맵’이 채택되었으며, 글로벌 적응 목표(The Global Goal on Adaptation, GGA) 평가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작업 일정이 설정되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작업 프로그램(Mitigation Ambition and Implementation Work Programme, MWP)에서는 건물과 도시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전 세계 감축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진전을 보였습니다.
한국의 역할
한국은 에너지 저장 및 전력망 서약 수소 행동 이니셔티브에 동참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2030년까지 세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용량을 6배, 전력망은 2040년까지 8000만km를 추가 또는 개조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이에 준하여 우리나라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기반 시스템을 갖도록 노력해야 하는 책무가 주어졌습니다.
A
2. 국가 및 산업별 상장기업의 탄소배출 현황
COP29에서 정부와 민간 부문에서 기후행동을 지원하는 금융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비즈니스와 금융계 리더들은 각국 정부가 기후투자 촉진을 위한 국가 기후계획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를 지원하는 정책 부재로 전환 중심의 포트폴리오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는 상장기업들은 정부의 저탄소 에너지 투자 지원이 탄소중립 실현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평가합니다. 이는 자국 내 기업들이 탄소배출 저감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으로도 여겨지고 있습니다.
G20 국가 상장기업들의 탈탄소화 성과를 보면, 11개국 기업들의 Scope1 배출량은 파리협정 이후 6년 동안 감소한 반면, 5개국 기업들의 배출량은 같은 기간 동안 증가했습니다. 선진국 기업들의 대부분은 배출량을 줄였고, 신흥시장 기업들의 대부분은 배출량이 증가했지만 몇몇 예외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 본사를 둔 기업들은 배출량이 증가했으며, 반면 브라질,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의 기업들은 배출량을 줄였습니다. 전반적으로 2016년에서 2022년까지 상장기업의 Scope1 배출량은 약 18% 증가했으며, 이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 8%를 초과하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국가와 민간 부문이 더욱 긴밀히 협력하여 배출량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금융 정책과 투자 전략을 마련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각 국가에 소재한 상장 기업의 총 Scope 1 배출량을 의미하며, 해당 국가에서의 배출량 비율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산업별 배출량 경로 비교 및 추진 전략
다음으로는 5대 탄소집약적 배출 산업인 전력, 석유 및 가스, 석탄, 철강, 시멘트 산업에 속한 상장 기업들의 현 위치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까지의 차이를 분석했습니다. 이 분석에서는 전통적인 재무지표인 매출 대신, 핵심 경제 활동인 생산 단위와 밀접하게 관련된 ‘생산기반 탄소집약도(Production-based emissions intensity)’ 지표를 사용하였습니다.
‘생산 탄소집약도’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각 산업의 생산량(예: 발전된 전력량, 추출된 석유 및 가스, 생산된 철강 및 시멘트 톤수)으로 나눈 값입니다. 전통적인 재무지표는 통화 시장의 변동이나 인플레이션 같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실제 물리적 생산량과는 무관한 요소들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 반면, ‘생산기반 탄소집약도’는 탄소 효율성을 기준으로 같은 산업 내 기업들을 보다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넷제로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각 기업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도록 돕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이하 IEA)는 2050 넷제로 시나리오에서 지구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C 이내로 제한하면서, 각 산업이 넷제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경로를 제시했습니다. 아래 표는 각 산업에서 매출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생산기반 탄소집약도와 IEA가 제시한 2030년 탄소집약도 경로의 차이를 비교한 데이터입니다. 즉, 이 비율은 IEA의 넷제로 경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전력 생산량에서는 화석 연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기업이 원자력, 수력, 또는 기타 재생에너지원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기업보다 높은 생산기반 탄소집약도를 보입니다. 석유 및 가스 기업의 탄소집약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첫 번째는 석유 대비 가스에서 발생하는 수익 비율로, 가스 생산 기업은 평균적으로 석유 생산 기업보다 탄소집약도가 낮습니다. 두 번째로, 석유 생산 기업의 경우, 석유의 출처에 따라 배출 집약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일샌드에서 추출한 석유는 기존 석유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배출 집약도가 높습니다.
생산량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배럴을 생산할수록 생산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걸프 지역의 석유 생산업체는 북미의 생산업체에 비해 평균적으로 탄소집약도가 낮고 탄소 효율이 높습니다. 특히 석유 1배럴은 어느 장소에서 연소되든 동일한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므로,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지가 핵심입니다. 이는 석탄 1톤이나 시멘트 1톤에도 마찬가지이며, 화석 연료에 계속 의존하는 경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핵심 과제일 것입니다.
비상장 기업의 탈탄소화 진행 상황 추적
비상장 시장의 기업 규모는 상장 기업보다 더 크며, 전 세계적으로 기관 투자자들이 점점 더 많은 비중을 비상장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비상장 기업은 청정에너지 기술 개발과 탈탄소화 추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비상장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은 공개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매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비상장 기업은 탄소 배출량이나 기타 기후 관련 정보를 공개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배출량 추정은 주로 모델링된 데이터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MSCI Sustainability Institute는 2024년 6월 기준으로 사모펀드가 투자한 약 65,000개 비상장 기업에 대한 탄소집약도 데이터를 수집 및 추정하여, 이들 기업의 총 Scope 1 배출량은 연간 약 73억 톤 CO2e로 추정하였습니다. 이는 상장 기업의 연간 배출량의 약 2/3(64%)에 해당하는 수치로, 사모 시장에서의 탈탄소화와 넷제로 달성을 위한 기후 관련 투자자들의 참여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A
3. 글로벌 기후금융 환경 분석
COP29에서는 개발도상국의 청정에너지 전환과 더 따뜻해진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수조 달러의 자금 조달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민간 부문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특히, 기후목표 달성과 지속가능한 개발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중국을 제외한 개발도상국에서 기후 완화를 위한 투자가 기존보다 8~16배 증가해야 한다고 추정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 투자 규모는 실제로 투자가능한 기회와 일치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는 자금의 효율적인 흐름과 투자 활성화를 위해 보다 혁신적인 금융 메커니즘과 민관 협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COP29의 논의는 이러한 격차를 줄이고 기후금융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전 세계 투자 가능 시장: 자본시장의 지역적 불균형
현재 청정에너지 투자의 상당 부분이 미국, 유럽, 중국에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을 제외한 신흥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 세계 청정에너지 투자에서 단 15%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불균형 상황은 자본시장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2024년 7월 기준, 선진국 경제의 상장주식 가치는 총 115조 달러로 신흥시장의 약 5배에 달하며 공공 부채 규모 또한 선진국이 약 140조 달러로 신흥국의 5배 이상입니다.
사모시장에서도 이러한 격차는 두드러집니다. 선진국의 사모 주식 가치는 신흥국의 3배 이상이며, 사모 부채 가치 역시 거의 두 배에 달합니다. 요약하자면, 선진국이 공모 및 사모 시장 모두에서 압도적인 규모를 차지하고 있으며, 신흥시장의 자본시장 규모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지역별 자본 조달 현황
2024년 9월 기준, 공모펀드와 상장지수펀드(Exchange-Traded Funds, ETFs) 등 상장된 투자 수단들이 전 세계적으로 약 70조 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그 중 기후펀드는 탈탄소화 포트폴리오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기후 솔루션 및 기술 투자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펀드는 2023년에만 자산이 18% 증가하는 등 최근 몇 년 동안 큰 성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기후펀드는 전 세계 지속가능펀드 시장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후펀드 자산의 대부분은 여전히 선진 시장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미국 기업이 전체 기후펀드 투자에서 거의 4분의 3인 72%를 차지하고 있고, 신흥 시장은 10%를 조금 넘는 비중에 그치고, 아프리카와 같은 소외된 지역은 2%미만에 불과합니다. 이는 기후펀드의 급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이 개발도상국으로 확장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본 조달에서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5년 이후 에너지, 유틸리티, 산업, 소재 부문의 기업들이 공모시장에서 조달한 자금의 거의 절반(48%)이 신흥 시장으로 유입되었습니다. 이 자본의 대부분은 중국과 인도로 흘러갔습니다. 그러나 G20 국가를 제외하면, 신흥시장 내에서도 자본 유입에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탄소집약적 부문에서 조달된 자본 중 2%만이 아프리카(54개국)나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베트남 등 아시아의 신흥시장 기업들에게 돌아갔습니다.
신흥시장 기후 자금 유치
지난해 COP28에서 각국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로 늘리는 목표에 합의했습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국을 제외한 개발도상국에서 청정에너지 투자 규모를 10년 동안 4배로 늘려야 합니다. 그러나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에서 민간 부문 자금을 유치하는 데는 여러 장애물이 존재합니다. 이는 기후 관련 투자만의 문제는 아니며, 개발 금융 기관들이 오랫동안 지적해온 구조적인 문제들이기도 합니다.
주요 장애물로는 높은 자본 비용, 거래 파트너의 낮은 신용도, 정치적 불안정성, 그리고 부족한 금융 인프라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기관 투자자들이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수익을 올리기 어렵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선진 시장인 미국과 유럽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평균 차입 비용(borrowing costs)이 약 5~8%였으나, 신흥 시장에서는 8%에서 15% 사이로 높고, 프론티어 시장에서는 15%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국가의 거시경제 정책, 높은 인플레이션과 이에 따른 높은 이자율에서 비롯됩니다.
또한, 신흥 시장에서는 장기 국채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고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차입 비용은 프로젝트와 산업 부문별 리스크를 반영하는데, 예를 들어, 신흥 시장에서 태양광 발전 및 저장 프로젝트의 비용이 선진국보다 두 배 정도 더 비쌀 수 있습니다. 이는 높은 차입 비용과 리스크 요인들이 민간 투자자들이 자금을 유치하는 데에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시장별 수익률 비교
선진국 시장은 최근 몇 십 년간 신흥국 및 프런티어 시장에 비해 높은 위험조정 수익률(risk-adjusted returns)을 기록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9월 기준으로 선진국 시장의 10년간 주식 투자 수익률은 9.84%였으며, 신흥국 시장은 8.18%, 프런티어 시장은 1.66%에 그쳤습니다. 또한 선진국 시장에 대한 투자는 동일한 수준의 보상을 얻기 위해 더 적은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 샤프 비율(Sharpe ratio, 위험 대비 수익률을 측정하는 지표)을 통해 보면 선진국 투자가 더욱 매력적으로 평가됩니다.
현재까지, 그리고 앞으로의 접근 방식
현재 개발도상국의 청정에너지 전환과 기후적응을 위한 민간 투자 대부분은 다자개발은행과 개발 금융 기관 등이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해당 기관들은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높이고, 투자자에게 확실성을 제공하는 정책과 규제를 마련하여 투자 유치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라질은 전력 시장 개혁과 개발은행의 지원을 통해 재생에너지 용량을 확대했고, 파키스탄과 이집트도 다자개발은행의 인센티브를 활용하여 청정 기술에 자금을 조달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종종 한 번에 하나의 거래를 요구하며, 고도화 맞춤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규모 확장을 위한 도전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현재 기후 관련 투자에 사용되는 민간 자본은 제한적이며, 개발도상국의 기후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공적 연금과 국부펀드는 높은 위험을 감수할 수 없어 일부 신흥시장 투자에 제한적입니다. 대신, 임팩트를 중심으로 하는 투자자들이 더 큰 위험을 감수하며 이러한 시장에 투자를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미래에는 시장 기반 메커니즘과 혼합금융 접근 방식이 더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탄소거래는 민간 자본을 유치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탄소 프로젝트를 통해 청정 에너지에 대한 자본 유치를 목표로 하는 국가들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이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민간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투자를 촉진하는 정책도 매우 중요합니다. 정부는 경제 여건을 개선하고, 기업들이 청정 에너지 전환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국가 기후 계획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민간 투자자들에게 투자 방향을 제시하며, 기후목표 달성에 필요한 전략을 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의 원천이 됩니다.
A
4. 상장 기업의 탈탄소화 진행 현황
2024년 8월 MSCI의 ITR 지표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상장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예상되는 탈탄소화 경로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온도가 2.8°C까지 상승할 수 있는 궤적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현재 기후 목표와의 괴리가 상당히 크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현재 상장 기업 중 11%는 1.5°C 상승 목표에 부합하는 수준의 배출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추가로 27%는 1.5°C에서 2°C 사이의 목표에 근접한 상태입니다. 반면, 62%의 기업들은 2°C 임계값을 초과하는 배출 궤도에 있으며, 이 중 약 1/4(24%)은 3.2°C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역과 시장별로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선진국 기업들이 파리협정 목표와 가장 근접한 탈탄소화 경로를 따르고 있습니다. 반면, 같은 지역의 신흥 시장 기업들은 아직 글로벌 목표에 부합하는 감축 노력을 충분히 이행하거나, 감축을 약속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에 속한 기업들의 탈탄소화 궤적이 신흥 시장 기업보다 글로벌 기후목표와 더 밀접하게 일치하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이 분석은 많은 기업이 여전히 기후목표 달성을 위해 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보다 긴급하고 포괄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산업별 탈탄소화 진척도
아래 표는 전 세계 주요 산업군별로 기업들이 글로벌 기후 목표에 부합하는 탈탄소화 경로를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니다. 분석에 따르면, 8개 산업군의 기업들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을 2°C 이내로 유지하는 데 평균적으로 부합했지만 에너지 및 원자재 부문과 같은 주요 온실가스 배출 산업뿐 아니라 자동차, 의류 제조, 호텔, 리조트, 레저 등산업군은 목표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자자와 금융 기관의 경우, 탄소 집약적인 에너지, 원자재, 제조업 분야에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이들 기업이 중간 단계의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감축 조치를 실제로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기후 솔루션과 관련된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학기반 감축목표 설정 기업의 증가
2024년 9월 30일 기준으로, 전 세계 상장 기업 중 약 4분의 1(24%)이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이하 SBTi)에서 개발한 기업 넷제로 표준에 따라 모든 온실가스 배출량을 넷제로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발표하거나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한, 41%의 기업이 SBTi 또는 자체적으로 넷제로 목표를 설정했으나, 이 중 일부는 반드시 글로벌 감축목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상장 기업의 58%가 기후 공약을 발표했으며, 이 수치는 1년 전보다 2%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기업들이 점차 기후 문제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전체 기업 중 상당수가 SBTi를 채택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넷제로 달성을 위한 과학적 일관성과 구체적 행동 계획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습니다.
글로벌 차원에서 보면, 상장 기업 중 39%가 업스트림 Scope3 배출량을 일부 공개해 전년 대비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운스트림 Scope3 배출량을 공개한 비율은 28%로, 같은 기간동안 6% 증가했습니다.
국가별로는 큰 차이가 있는데, 일본의 대형 상장사의 경우 81%가 Scope3 배출량을 공개했으나, 중국 대형 상장사 중 공개한 기업은 10% 미만에 그쳤습니다. 반면, 미국의 공개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그 배경에는 기후 정보 공개 의무화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기업들이 기후 투명성을 높이는 데 있어 아직도 제도적 안정성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A
5.탄소배출권 시장 추적
MSCI가 탄소배출권 시장에 대해 분석한 주요 지표들을 살펴보면, 발행량, 폐기량, 그리고 가격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발행량 (공급 지표)
2024년 3분기 동안 등록된 프로젝트들은 총 7,800만 톤(Mt CO2e) 탄소배출권을 발행했습니다.이는 2023년 같은 기간의 6,500만 톤과 자연기반 프로젝트의 발행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분기의 6,600만 톤보다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연간 발행량은 2023년 대비 2% 감소하였습니다. 자발적 탄소시장의 품질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지만, 3분기에는 품질 개선을 위한 이니셔티브가 진전을 보였고, 이로 인해 시장 분위기는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결성 위원회(Integrity Council for the Voluntary Carbon Market)는 재생에너지 방법론을 제외하고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품질 벤치마크 설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폐기량 (수요 지표)
올해 3분기 동안 기업들은 3500만 톤(Mt)의 탄소배출권을 폐기했습니다. 이는 2023년 3분기와 비슷한 수준이며, 폐기량은 전년 대비 3% 증가했습니다. 특히, 국제올림픽위원회, Shell, EY가 2분기에 가장 많은 폐기량을 기록했습니다.
가격 측면
탄소배출권의 평균 현물 가격은 올해 3분기에 CO2e 톤당 $4.8로, 2분기 대비 18% 하락했으며, 전년 동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지난 분기 대비 25% 상승한 재생에너지 크레딧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젝트 유형에서 가격이 비슷한 비율로 하락했습니다. 한편, 자연 복원 크레딧에서는 선물 거래가 계속해서 상당한 프리미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
6.결론
COP29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금융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으며, 특히 정부와 민간 부문 간 협력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에 모두 각국의 탄소배출 저감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으며, 국가별 특성과 산업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각국 상장기업의 탈탄소화 현황을 보면, 선진국과 신흥국 간 배출량 변화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각 국가의 에너지 수요 구조와 정책에 따른 결과로 해석됩니다. 선진국들은 상대적으로 탈탄소화를 진행하고 있지만, 신흥국에서는 에너지 수요와 화석 연료 의존도가 높아 탈탄소화 속도가 더디고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국가와 기업들이 탈탄소화를 추진하는 데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산업별로는 전력, 석유 및 가스, 석탄, 철강, 시멘트 산업이 여전히 높은 탄소집약도를 보이며, 각 산업의 탈탄소화 경로와 전략 수립이 시급합니다. 특히 탄소배출이 집중된 산업에서는 생산 효율성과 배출 집약도를 개선하는 기술 혁신이 필요하며, 이는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기후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비상장 기업들의 경우, 정보 공개가 부족하여 배출량 추정에 어려움이 있지만, 이들 역시 기후변화 대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사모펀드를 통한 투자와 탈탄소화 전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기후 관련 투자자들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합니다.
결국, 국가와 민간 부문에서는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 강화와, 금융 정책과 투자 전략의 보다 혁신적인 마련이 시급합니다. 기후 금융의 효율적인 흐름을 위해서는 민간과 공공 부문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며, 특히 개발도상국과 신흥시장에 대한 자본 유치가 더욱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후 투자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금융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정책적 지원이 더욱 필수적인 시점입니다.
※출처
1. MSCI Sustainable Institute, Net-Zero Tracker: Investors see climate risk rising
2. 서울경제, COP29 24일 폐막…기후재원·국제탄소시장 운영 기반 조성 타결
3. 네이트, “2035년까지 年 1.3조달러 기후 투자”…COP29 폐막
4. ESG경제, [COP29결산] “2035 NDC에 국외 탄소배출권 활용 계획 포함해야”
*문의: 안성은(Sungeun Annie Ann) 과장 ( / 070-4397-9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