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KO

소식

협회소식

□ 일시: 2025년 4월 8일 11:00-13:30 □ 장소: 그랜드 하얏트 서울 남산룸 □ 주요내용: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2025년도 정기총회를 4월 8일(화) 그랜드 하얏트 서울 남산룸에서 개최했습니다. 올해는 200여 명의 회원사 대표 및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본 회의 안건을 의결하고, 반기문 UNGC 한국협회 명예회장의 특별강연과 「기후 앰비션 엑셀러레이터(Climate Ambition Accelerator, CAA)」 런칭 세리머니도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이동건 UNGC 한국협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 특별히 UNGC 출범 25주년을 맞이하여, 기업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 세계적인 파트너십 구축과 책임 있는 비즈니스 관행 촉진을 위한 UNGC 행보를 신뢰해주신 데 대해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라며, “지금 전 세계가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 미국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의 확산 등 전례없는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어느때보다 위기 대응 체제의 강화가 절실한 가운데, ESG 경영에 대한 시대적 요구는 여전히 변함이 없는 만큼 ESG 선도 기업의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전했습니다. 특히, “과학기반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넷제로(Net-Zero) 전환 가속화를 위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기후 앰비션 엑셀러레이터(Climate Ambition Accelerator, CAA)」에 참여해주신 27개 회원사 관계자분들께 깊은 축하의 인사를 전합니다”라며, 앞으로도 과감한 기후대응 행동계획에 참여하고, 지속가능성 이슈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행보에 아낌없는 응원을 보내며 CAA 참여사들을 격려했습니다. 이어 본회의는 이동건 회장의 주재 및 유연철 사무총장의 보고를 통해 △전기 총회 회의록 채택 △2024년 사업, 결산, 감사 보고 및 의결...
작성일 : 2025.04.15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159
□ 일시: 2025년 4월 8일(화), 14:00 – 17:00 □ 장소: 그랜드 하얏트 서울 남산룸 1&2 □ 주요 내용: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2025년도 1차 실무그룹 미팅을 6개 실무그룹(ESG, 인권, 환경, 반부패, 지속가능금융, 사회공헌) 통합으로 개최했습니다. 실무그룹 통합 1차 미팅은 유연철 사무총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법무법인(유) 율촌 김선희 파트너 변호사의 ‘인공지능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LG AI 연구원 김명신 정책수석의 ‘Responsible AI, Sustainable Impact: ESG를 위한 AI 실천 사례’, 그리고 법무법인(유) 율촌 윤용희 파트너 변호사의 ‘글로벌 ESG 규제 간소화 동향과 기업 대응 방향’ 발표로 진행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UNGC 주요 발간자료 및 공지사항을 안내하고,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와 함께 올 한해동안 실무그룹 주제 및 내용을 고민하고 논의해 나갈 6개 실무그룹의 Co-chair를 소개하며 자유로운 네트워킹 시간을 보냈습니다. 1. 인사말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2025년을 AI와 지속가능경영의 접점이 본격화되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언급하며, AI가 ESG 데이터 분석, 에너지 효율화, 기후변화 대응 등 지속가능성 강화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2월부터 시행된 EU AI Act와 2026년 시행 예정인 한국의 인공지능기본법, 그리고 EU 옴니버스 패키지를 통한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체계의 조정 등 글로벌 규제 변화에 기업들이 신속히 대응해야 함을 당부했으며,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가 운영 중인 ESG, 인권, 반부패, 환경, 지속가능금융, 사회공헌 등 6개 이슈별 실무그룹을 통해 조직 내 유기적 협업과 지식 공유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2. 인공지능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김선희 법무법인(유) 율촌 파트너 변호사는...
작성일 : 2025.04.15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151
이번 먼슬리 인사이트에서는 유럽연합(EU) 옴니버스 간소화 패키지 제안에 대해 기존 내용과 비교하며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EU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조의 변화에 따른 국내 기업 대상 미치는 영향 및 대응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 본문을 통해, EU 옴니버스 간소화 패키지와 관련한 주요 규제 타임라인과 함께 패키지 간소화 배경에 대해 안내합니다. 또한,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3D), ▲EU 택소노미 규정(EU Taxonomy Regulation, EUTR) 개정안의 주요 내용 요약 및 비교∙분석과 함께 본 개정안이 향후 기업에 미칠 영향과 그에 따른 기업 대응 전략 및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전문가 인사이트>에서는 오필리 모르티에(Ophélie Mortier) 벨기에 본사 자산운용사(DPAM)의 최고 지속가능 투자 책임자, 시모네 루이즈 베르트(Simone Ruez Vert) MSCI Research의 상무이사, 그리고 테사 영거(Tessa Younger) CCLA 자산운용의 지속가능경영 리더 등 전문가들의 인사이트를 담았습니다. 특히 EU 옴니버스 간소화 패키지에 대한 필요성, 기업 및 투자자들에 미칠 긍·부정적인 영향 및 기대하는 결과 등에 대해전문가의 폭넓은 인사이트를 제시합니다.   4월호 Monthly Insights부터 「C-LV 스페셜 리포트」가 신설되었습니다. 본 코너는 기업 임원진을 대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ESG 환경 속 트렌드 및 사례 등 핵심 정보를 엄선하여 제공합니다. 지속가능한 성장과 미래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가 시리즈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특히 이번 「C-LV 스페셜 리포트」에서는 기업 경쟁력을 갖추는데 자연자본이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배경과 중요성, 기업 경쟁력에 가져오는 이점 및...
작성일 : 2025.04.03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233
□ 행사명: 제4회 성평등을 위한 링 더 벨 □ 일시: 2025년 3월 13일 10:00-11:30 □ 장소: 한국거래소 Market Square 종합홍보관 □ 주요내용: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는 기업 내 성평등 가치 확산과 지역사회 여성 및 여아 성평등 달성을 위한 기업의 책임 및 역할의 중요성 제고를 위하여 한국거래소, 유엔여성기구(UN Women) 지식·파트너십 센터, 국제금융공사(IFC) 한국사무소와 공동으로 제4회 ‘성평등을 위한 링 더 벨’을 개최하였습니다. 한국거래소 종합홍보관에서 진행된 본행사에는 국제기구 고위급 인사, 기업∙기관 대표 및 실무진, 한국거래소 직원 등 약 20여 개사의 90여 명이 참여하여 올해 세계 여성의 날 주제인 ‘모든 여성과 여아를 위하여’의 의미를 되새기고 모두의 동등한 권리, 성평등 실현, 역량과 기회의 보장을 위한 기업과 지역사회의 역할을 함께 논하였습니다. <1부: 타종식> 먼저, 행사 1부는 안토니우 구테흐스(Antó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의 세계 여성의 날 축사 영상 메시지로 시작하였습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여성과 여아를 위한 동등한 기회의 문의 열릴 때 사회가 더욱 번창하며 평화롭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폭력, 차별, 경제적 불평등이라는 오래된 해악을 해소하고 특히 온라인 공간을 통하여 새로운 위협으로 떠오른 편향적 알고리즘(biased algorithms)에 단호히 대응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이어서 김기경 한국거래소 경영지원본부 부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하여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매년 발표하는 성평등 지수에서 한국은 146개국 중 94위에 머물렀지만, 2022년 8월 시행한 ‘여성 이사 할당제’ 이후 코스피 주력 상장사 100곳의 여성 임원 비율은 6.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점을 들며 국내...
작성일 : 2025.03.19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251
일시: 2025년 3월 11일(화) 07:30-09:00 장소: 더 플라자 호텔 서울, 4F 메이플홀 참석자: 52 (명) 주요내용: 3월 11일 (화),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주한영국대사관, ERM 코리아가 공동주최한 기업 생물다양성 ESG 리더십 조찬간담회가 더 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본 행사에는 자연자본 리스크 대응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내외 기업 및 기관의 임원진들이 참석하여 산업 전반의 자연자본 리스크 관리와 구체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전략 강화 방안과 글로벌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환영사> 먼저, 환영사에서는 콜린 크룩스(Colin Crooks), 주한영국대사,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그리고 곽승현 ERM 코리아 대표 파트너가 이번 간담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참석자들을 환영했습니다. 콜린 크룩스 대사는 ”영국 정부는 기후와 자연 위기에 대한 대응이 국가 안보, 에너지 자립 그리고 경제 회복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연철 사무총장은 기업들이 생물다양성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ESG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곽승현 대표 파트너는 ERM 코리아가 제시하는 지속가능한 기업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연을 고려한 솔루션과 지속가능한 리더십이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회복탄력성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했습니다. <발제> 본격적인 행사의 시작으로, 첫 번째 발표자인 Ben Caldecott 옥스퍼드 대학 지속가능금융그룹 창립 이사가 ‘기업의 전환계획에 대한 조언’을 주제로, 기업들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손실을 경영전략에 통합하고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계획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전환계획은 기업의 성장과 리스크 관리를 위한 경영 전략을 말하며, 최근...
작성일 : 2025.03.18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256
행사명: 2025 UNGC 한국협회 회원사·비회원사 Open Day 일시: 회원사 Open Day: 2월 4일, 2월 13일, 2월 25일 / 비회원사 Open Day: 2월 11일, 2월 20일 참석자: 회원사 Open Day 총 77개사 94명 / 비회원사 Open Day 총 41개사 50명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2025년 2월 중 5회에 걸쳐 회원사·비회원사 Open Day를 진행했습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Open Day는 △2024 UNGC 임팩트 공유, △2024년 UNGC 한국협회 주요 사업계획 안내, △연회비 정책 변경사항 및 회원사 혜택 안내, △이행보고서(CoP) 정책 안내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인사말을 통해 “트럼프 2기 출범으로 미국 내 반 ESG 정책도 예상되지만, 글로벌 ESG 공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ESG는 기업의 경영전략에 있어서 핵심 요소인 점은 변함이 없습니다. 이러한 지속가능경영 여정에서 기업들이 더 나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전하며 당부 및 격려의 인사를 전했습니다. 이후 전년도 한국협회 소개 영상을 시청하며 UNGC의 주요 활동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어서 2024년을 돌아보며 UNGC 임팩트를 브리핑하였습니다. ‘Leaders Summit’, 지역별 ‘Forward Faster’와 같은 글로벌 컨퍼런스의 개최 성과를 공유하고, ‘기업과 인권 내비게이터’, ‘아동노동 플랫폼’, ‘변혁적 거버넌스 자가진단 도구’, ‘해양 스튜어드십 연합’, ‘물 회복탄력성 연합’, 그리고 CEO 아젠다로서 ‘SDGs를 위한 CFO연합’, ‘CMO임팩트 씽크랩’, ‘CLO Legal Council’ 등과 같은 주요 글로벌 서약, 협의체 및 툴을 안내했습니다. 또한 기업이 UNGC 10대 원칙 내재화에...
작성일 : 2025.03.17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246
이번 먼쓸리 인사이트에서는 생성형 AI가 기업 지속가능성에 제공하는 기회와 도전 과제를 살피고, 선도 기업들의 사례 기반 효과적인 통합 전략 관련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생성형 AI를 통한 기업 지속가능성의 기회, 리스크, 전략 및 시너지 창출에 대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구체적으로 본문을 통해, 생성형 AI의 기업 운영, 공급망 관리 등 주요 영역에서 ESG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생성형 AI 도입에 따라 발생가능한 리스크와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신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합니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기 위해서 ▲조직 체계 구축, ▲프로세스 수립, ▲생태계 협력 강화 및 프레임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에 따른 실질적인 시너지 창출 관련 시사점을 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전문가 인사이트>에서는 라울 사린(Rahul Sareen)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글로벌 산업 및 지속가능성 솔루션 리더, 비앙카 모타(Bianca Mota) AWS 스타트업 부문 솔루션 아키텍트, 그리고 오드리 미토(Audrey Mito) 토요타 북미 공급망 및 물류 매니저 등 전문가들의 인사이트를 담았습니다. 해당 인사이트는 생성형 AI의 도입에 따른 기업 지속가능성 방향, 실행 전략 및 토요타의 공급망 혁신 사례 등을 포함합니다.   <ESG 최신 동향>에서는, PwC에서 발간한 ‘Scope 3 감축 대응에 있어 조달의 역할’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Scope 3 배출 관리 및 감축 관련 조달의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기업의 넷 제로 목표 달성 가속화를 위해서는 Scope 3 감축을 위한 접근법의 필요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멜처 센터(Meltzer Center)가 제시하는 3단계 DEI...
작성일 : 2025.03.05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