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협회소식
Collective Action to Tackle Corruption 심화 워크숍 결과 공유 (2/9)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7-02-16 10:29
조회
4842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BSI 그룹 코리아와 함께 2월 9일(목), 주한영국대사관 아스톤 홀(Aston Hall)에서 영국번영기금 후원으로 운영되는 ‘Collective Action to Tackle Corruption’ 심화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임홍재 사무총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본 워크숍은 기업, 공공기관, 학계, NGO등 여러 기관에 걸쳐 약 60여 명의 컴플라이언스 실무진이 참여하여 준법윤리경영 내부시스템 구축을 위한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먼저 BSI 그룹 코리아의 전민구 이사는 지난 1월 19일(목) 'ISO 37001 사전 자가진단 워크숍'에서 진행했던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분석 및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반부패 경영 시스템에 관한 자가진단은 '조직활동현황, 리더십, 기획, 지원, 운영, 성과평가, 개선'의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습니다.

다음으로는 LIG 넥스원 박성훈 매니저의 “부패방지경영시스템 도입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기업사례발표가 이어졌습니다. LIG 넥스원은 윤리규범 및 준법경영가이드를 제정하여 윤리경영체계 확산을 위한 전사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BS 10500 서면심사, Gap분석 등을 통해 내부 리스크를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으며, 조직 내 컴플라이언스 실무진의 전문가 교육 등을 통해 역량을 강화해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음으로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이은경 팀장l책임연구원이 제 3자 리스크 관리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TI UK-USA가 지난해 발간한 ‘제 3자 리스크 관리(Managing Third Party Risk)’ 내용을 토대로, 조직의 뇌물 및 부패 리스크가 증가하는 이유로 제 3자와의 관계 증가(54%)가 기업의 해외 진출(55%)과 함께 가장 큰 요인이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제 3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에 따라 제 3자 뇌물방지를 위한 11가지 원칙을 소개하고, 각각의 원칙에 따른 제 3자 관리방안을 설명하였습니다.

발표에 이어 <제3자 리스크 관리 자가진단 활동>을 통하여 활발한 그룹 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산업 군에 따른 총 6개 그룹으로 나뉘어 제 3자 리스크 관리를 위한 9가지 분야<①지배구조 및 청렴성에 대한 의지, ②반부패 관리를 위한 조직, ③리스크 식별 및 평가, ④실사, ⑤계약, ⑥관리, ⑦모니터링, ⑧검토 및 평가, ⑨공시>에 대한 리스크 수준을 점검하고, 주요 이슈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열띤 토론에 이어 참석한 기업 실무자들이 그룹을 대표하여 발표하였으며, 산업별 현재 리스크 상태, 취약점, 보완점 등에 대하여 파악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영국대사관 후원으로 운영되었던 ‘Collective Action to Tackle Corruption’의 마지막 심화워크숍으로, 그 동안 본 프로젝트에 활발하게 참여한 9개 기업 (두산중공업, 롯데백화점, LIG 넥스원, KCC, 풍산, 한화테크윈, 현대글로비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의 15人에게는 수료증을 수여하였습니다. 주한영국대사관의 멜라니 바로우(Mellanie Barlow) 참사관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해준 모든 기업과 유엔글로벌콤팩트, BSI에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조직 내 반부패 관리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실무진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주한영국대사관에서도 청렴한 환경 조성을 위한 반부패 노력을 계속 지원할 것임을 약속했습니다.

본 심화워크숍의 참석자들은 설문조사를 통해 Collective Action to Tackle Corruption 프로젝트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표했으며, 추후 유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서도 요청이 많았습니다. 이에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뇌물방지 및 반부패 확산을 위해 기업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개발 및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먼저 BSI 그룹 코리아의 전민구 이사는 지난 1월 19일(목) 'ISO 37001 사전 자가진단 워크숍'에서 진행했던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분석 및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반부패 경영 시스템에 관한 자가진단은 '조직활동현황, 리더십, 기획, 지원, 운영, 성과평가, 개선'의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습니다.

다음으로는 LIG 넥스원 박성훈 매니저의 “부패방지경영시스템 도입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기업사례발표가 이어졌습니다. LIG 넥스원은 윤리규범 및 준법경영가이드를 제정하여 윤리경영체계 확산을 위한 전사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BS 10500 서면심사, Gap분석 등을 통해 내부 리스크를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으며, 조직 내 컴플라이언스 실무진의 전문가 교육 등을 통해 역량을 강화해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음으로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이은경 팀장l책임연구원이 제 3자 리스크 관리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TI UK-USA가 지난해 발간한 ‘제 3자 리스크 관리(Managing Third Party Risk)’ 내용을 토대로, 조직의 뇌물 및 부패 리스크가 증가하는 이유로 제 3자와의 관계 증가(54%)가 기업의 해외 진출(55%)과 함께 가장 큰 요인이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제 3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에 따라 제 3자 뇌물방지를 위한 11가지 원칙을 소개하고, 각각의 원칙에 따른 제 3자 관리방안을 설명하였습니다.

발표에 이어 <제3자 리스크 관리 자가진단 활동>을 통하여 활발한 그룹 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산업 군에 따른 총 6개 그룹으로 나뉘어 제 3자 리스크 관리를 위한 9가지 분야<①지배구조 및 청렴성에 대한 의지, ②반부패 관리를 위한 조직, ③리스크 식별 및 평가, ④실사, ⑤계약, ⑥관리, ⑦모니터링, ⑧검토 및 평가, ⑨공시>에 대한 리스크 수준을 점검하고, 주요 이슈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열띤 토론에 이어 참석한 기업 실무자들이 그룹을 대표하여 발표하였으며, 산업별 현재 리스크 상태, 취약점, 보완점 등에 대하여 파악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영국대사관 후원으로 운영되었던 ‘Collective Action to Tackle Corruption’의 마지막 심화워크숍으로, 그 동안 본 프로젝트에 활발하게 참여한 9개 기업 (두산중공업, 롯데백화점, LIG 넥스원, KCC, 풍산, 한화테크윈, 현대글로비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의 15人에게는 수료증을 수여하였습니다. 주한영국대사관의 멜라니 바로우(Mellanie Barlow) 참사관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해준 모든 기업과 유엔글로벌콤팩트, BSI에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조직 내 반부패 관리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실무진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주한영국대사관에서도 청렴한 환경 조성을 위한 반부패 노력을 계속 지원할 것임을 약속했습니다.

본 심화워크숍의 참석자들은 설문조사를 통해 Collective Action to Tackle Corruption 프로젝트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표했으며, 추후 유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서도 요청이 많았습니다. 이에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는 뇌물방지 및 반부패 확산을 위해 기업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개발 및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